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배송 비결2] 수학으로 물류센터 리모델링!수학동아 l2020년 04호
- 팔리는 물건을 선반에서 쉽게 손이 닿는 층에 배치하고 그 선반을 포장 장소에 가까운 곳에 두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작업 효율을 크게 늘릴 순 없었죠. 그래서 최근 미국 아마존 같은 업체는 ‘랜덤스토’를 이용합니다.랜덤 스토란, 피클, 드라마 DVD, 화장품처럼 전혀 관련 없는 상품들을 ... ...
- 똑똑! 실례합니다~ 화장실은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있다!Part2.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Part3. [화장실의 변신 ③] 어느 곳에서나 쓸 수 있다!Part4.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 ★도움 유지선(영국 브리스톨 바이오에너지 연구센터 연구원), 조약골(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조재원(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 ... ...
- [Go! Go! 고고학자] 마룻바닥 밑에서 도굴품이 우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전시 중인 ‘오구라 컬렉션’이에요.나머지는 개인 소장자나 국립경주박물관 등 여러 곳으로 흩어졌어요. 마룻바닥 밑에서 발견된 유물은 오구라가 숨겨놓고 미처 가져가지 못한 문화재 일부였던 것이죠.문제는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수집한 문화재 상당수의 출처가 수상했다는 점입니다. 1920년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바퀴 없이 움직이는 롤러코스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부른답니다.스피커부터 마이크, 도난방지 장치까지, 전자기 유도의 원리는 여러 곳에서 쓰여요.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발명품은 바로 ‘발전기’일 거예요. 발전기는 화력이나 수력, 원자력 등 여러 가지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기계예요. 여러 에너지원을 사용해 터빈을 돌리면,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flyby)로 태양계를 빠져나갔다. 최 본부장은 “카이퍼벨트는 태양계의 냉장고 같은 곳”이라며 “태양과 가까운 지역의 행성과 소천체는 강한 태양풍 등의 영향으로 상태가 변했지만, 이런 영향이 미미한 카이퍼 벨트 지역은 태양이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로코스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쾌변 성! 공! 오잉? 그런데 이건 뭐지. 똥을 싸니까, 물건을 살 수 있는 화폐를 주는 곳이 있네. 똥이 돈이 된다고? 배설물로 물건을 산다? 똥본위화폐오늘 화장실 다녀온 친구들, 모두 10꿀 받아가세요! ‘꿀’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배설물에 가치를 매겨 개발한 새로운 화폐예요. 배설물은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군 복무에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활용하는 분위기다. 취재 당시 방문한 연구실 두 곳의 남자 대학원생 10명 가운데 4명은 전문연구요원이었고, 5명은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들은 전문연구요원 선발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서강대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인 김근태 씨는 “대부분 ...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 등 세계 지도부터 그려놓고 설명을 시작했다. 그리고 아프리카 한 곳을 손가락으로 짚었다. 남부 아프리카 칼라하리 사막 부근이었다. 그간 가장 오래된 인류 유골은 동부 아프리카에서 발견됐지만,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모계 혈통으로 볼 때 가장 오래된 L0 그룹의 ... ...
- [과학동아X긱블] 지난겨울 시작된 '레게노'스토리,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두 쌍의 봉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딩으로 입력된 값에 따라 헤드가 영역 내의 모든 곳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헤드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으로는 위치를 아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텝모터를 사용했습니다. 이로써 ‘이동부’ 설계를 완료했습니다. 흐물흐물 녹아버린 붕어빵 ... ...
- [미국유학일기] 대학 생활의 꽃, 동아리? 일이 더블이 되는 거야~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아이디어를 구상했고, 두 번째 학기에는 장치를 직접 만들었다. 우리는 드론이 경사진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착륙장치(Active Landing Gear)’를 만들었다. 이 장치에 드론 착륙시 지면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와 경사에 따라 지지대 길이를 저절로 조절하는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