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볼 수 있었다. 놀랍게도 한 배에서 태어난 흰발생쥐 형제 간에도 서로 무리를 확연하게
구분
짓는 것으로 나타났다.흰발생쥐의 정자에겐 아무리 같은 배에서 태어난 친척뻘 정자들도 그저 남남일 뿐이었다. 피셔 박사는 “서로 다른 종의 정자만큼이나 한 배에서 태어난 쥐의 정자들이 서로를 잘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평균 해상도가 60cm에 달하는 이 영상지도는 마당에 있는 강아지 집 지붕 색깔까지
구분
할 만큼 정교하다. 구글어스의 서비스 중 하나인 ‘스트리트뷰(streetview)’는 지상 사진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재생하기 때문에 그 지역을 직접 걷고 있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한다. 지구 표면에 그치지 않는다.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포 내부의 이온이나 산성도를 알아낼 수 있다.기존의 형광현미경은 형광의 세기만
구분
했다. 그래서 단순히 형광물질이 밀도가 높게 염색됐을 뿐인데도 형광 세기가 높으면 이온 농도가 높거나 산성도가 높다고 분석되는 경우가 있었다.연구단은 형광수명에 주목했다. 형광수명이란 들뜬 상태의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막연히 원초적인 단계에 머물렀다면 지금은 현실화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
하는 구체화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것이 최 교수의 주장이다.대표적인 것이 유전자 분석에 대한 비전이다. 그는 “DNA의 구조를 밝혀낸 지 불과 반세기 만에 우리는 유전자를 분석해 과거가 아닌 미래의 삶의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깊이에 따라 OCT로
구분
해서 위조지폐를 찾아냈다”고 설명했다.OCT는 진주의 품질을
구분
하는 데도 사용된다. 조개에 진주의 핵을 심어서 바닷물에서 키운 해수진주는 모양이 완벽한 구에 가까운 반면, 핵이 없이 저수지나 호수에서 키운 담수진주는 못생긴 짱구모양이 많다. 그런데 일부 ... ...
진화의 실험실, 갈라파고스에 가다 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장보고 주니어’를 타고 갈라파고스에 도착한 권영인 박사님. 다윈이 처음 상륙한 세로띠에레따스의 모래해안을 시작으로 이사벨라와 프로 ... 여러 곳에 있었다. 게다가 오래 전에 분출한 용암과 2005년에 솟구친 용암은 색이 달라서 뚜렷이
구분
됐다. 시간은 이렇게 흔적을 남기고 있다 ... ...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사람의 심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인 것 같아 보인다. 여기서 오른쪽·왼쪽의
구분
은 행성 밖 사람들의 기준이다. 방향이 바뀌는 성질은 아래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좌우가 바뀌는 뫼비우스 공간 체험➊ 긴 직사각형의 띠를 180° 만큼 한 번 꼬아 끝을 연결하고 면 위에 아무 데나 점을 찍는다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붙여 구멍이 여러개 나와도 언제나 면의 개수는 두 개야. 이 성질은 변하지 않지.도형을
구분
하는 기준이 이게 전부는 아니야. 곡면의 성질 등 이 밖에도 여러 가지 기준으로 도형을 성질을 알아 내고 다시 분류해. 도형의 성질을 잘 알면 화학, 건축 등 다른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 ... ...
수를 한눈에 보여 주는 친절한 그래프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술집의 긴 칸막이에서 유래해 ‘술집’이란 뜻이 있고 법정에서 방청석과 재판정을
구분
해 주는 경계선에서 유래해 ‘변호사’라는 뜻도 있다. 축구 골대 윗부분은 cross bar라고 하며, 각종 상품에 찍혀 있는 막대기호를 bar code라고 한다. 이 외에도 막대모양의 사탕이나 비누를 말할 때도 bar라는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크게 관절의 각도를 줄이는 굽힘근(flexor muscle)과 늘이는 폄근(extensor muscle) 두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의 알통을 만드는 이두박근은 굽힘근이고 뒤쪽의 삼두박근은 폄근이다. 폄근은 주로 자세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굽힘근도 자세유지에 중요하다. 그러나 자세반사에 관련된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