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시"(으)로 총 6,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네이처’에 알파고를 능가하는 ’알파고 제로’를 공개했다. 2013년 디웨이브2 구입 당시 엔지니어링 디렉터였던 하트뭇 네벤은 자사 블로그에 “우리는 양자컴퓨터가 기계학습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는 이미 양자 기계학습 알고리듬을 몇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신호가 아닐 수 있었다. 연구자들 사이에 논란이 일자, 이례적으로 신호가 발견된 당일 당시 라이고 과학협력단 대변인 가브리엘라 곤잘레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교수가 “암맹주입은 없었다”고 확인했다. 더 정밀한 검증을 통해 중력파가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2015년 12월 26일 두 번째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소재를 도포해야 한다. 백색광을 내는 단일 형광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도 있다. 1996년 당시 일본 니치아 화학공업에서 근무하던 슈지 나카무라 박사가 파란색 LED를 개발해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을 계기로 파란색 LED를 기반으로 한 백색 LED가 상업화됐는데, 발광 효율이 낮고 색상이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자연 선택의 단위가 결국은 유전자(지구에서 진화한 복제자의 이름)임을 밝혔다. 둘째, 당시 곳곳에서 쏟아지던 신선한 발상들을 유전자 선택론이라는 하나의 개념적 틀 안에서 매끄럽게 통합했다. 불멸의 복제자와 덧없는 운반자를 구별하다지난 시간에 우리는 ‘이기적 유전자’라는 은유가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시스템을 개발했지요. 이 프로젝트의 이름이 바로 ‘WWW(World Wide Web, 웹)’랍니다.당시에도 인터넷은 있었지만, 복잡한 명령어를 입력해야 정보를 찾을 수 있었어요. 버너스리는 지금처럼 마우스와 키보드로 링크를 누르기만 하면 글과 영상, 사진 등을 볼 수 있는 웹사이트를 만들었지요. 그리고 199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채택하느냐에 따라 지진 규모는 달라진다. 지난해 4월 16일 일본 구마모토 지진 발생 당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사우스다코타 주에서 관측한 지진파로 지진 규모를 계산했다. 모멘트 규모는 7.0으로 나타난 반면 P파의 진폭을 측정해서 결정한 실체파 규모는 6.46이었다. 레일리파의 진폭을 측정해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영양학적 측면, 그리고 사회심리학적인 이점을 비교하는 미션을 수행했다. 그래서 당시에는 탐사대원들이 냉장고 없이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식재료를 잔뜩 챙겨 들어갔다. HI-SEAS 프로젝트 책임 연구를 맡고 있는 킴 빈스테드 마노아 하와이대(UH마노아) 교수는 홈페이지에서 “이 프로젝트를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억, 수면 같은 행동이 특정한 유전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하지만 당시 과학자들은 이 가설에 호의적이지 않았다. 동물의 행동은 너무 복잡해서 단순히 몇 개의 유전자들에 의해 조절되는 현상을 관찰하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벤저 교수와 그의 제자인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편집이 대중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2014년부터 발 빠르게 취재를 시작했다. 이 책은 당시 취재와 제작에 참여한 팀이 프로그램에 미처 담지 못한 이야기를 덧붙여 집필했다. 기술의 개요와 발달 과정 같은 이론적인 이야기는 물론이고, 일본을 비롯해 전세계 주요 게놈 편집 연구 현장을 직접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래핀을 붙들고 5년 동안 씨름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원은 “연구를 시작할 당시 그래핀 박막을 제대로 만들지 못해서 3~4개월 동안 실험에 실험을 거듭한 기억이 생생하다”고 말했다. 그래핀을 만든 뒤에는 거미줄처럼 얽히고 설킨 은나노선 그물을 만들어 그래핀으로 덮어야 했는데, 이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