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학회에서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그들은 영수의 실험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므로 진지한 질문을 던질 게 틀림없었다.
지적
인 인상의 여자가 말했다."이 그림 정말 아름답네요.""그렇죠? 데이터가 진짜 깨끗하게 나왔거든요. 실험 방법을 보면 아시겠지만…….""그게 아니라요. 이 그림 뭐로 그린 거예요? 맥킨토시로 한 것 같은데……. ... ...
과다한 정보가 몸을 해친다 '정보피로증후군'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TV, 책, 잡지, 신문, 광고게시판, 그리고 인터넷. 홍수처럼 밀려드는 많은 양의 정보 때문에 머리가 혼란스러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보과다’로 인해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 아무리 하는 일이 재미있어도 건강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공통된
지적
이다 ... ...
Ⅱ. 블랙홀 과학사 : 2. 허블우주망원경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하는 점들을 꼬집고 있다.특히 크라우스는 '스타트렉의 물리학'에서 SF물의 오류를
지적
하기도 했지만 비과학적인 측면을 SF작가들이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동정하고 있다. 그것은 과학보다 더 중요한 인간의 상상력에 대한 애정이다. 또 현대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푸념이기도 ... ...
왼손잡이 아동교육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때문에 오히려 오른손 사용을 강요하는 것은 심각한 학습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
한다. 부모나 선생님으로부터 손을 바꾸라고 강요당한 왼손잡이 어린이들이 말을 더듬거나 읽기, 쓰기가 곤란해지는 등 학습 혼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아이가 심하게 왼손잡이 경향을 보이는 ... ...
오른손이 하는일 왼손도 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오른손잡이의 세상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
했다.사회 구석구석의 요소들이 오른손잡이 중심으로 설계돼 있는 상태에서 특별한 배려가 없는 한 왼손잡이는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실제 왼손잡이 운전사는 오른손잡이에 비해 교통사고로 ... ...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반복되고 있는 과학적 오류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하지만 이 사이트의 저자는 이들 문제에 의문을 제기한 뒤 자세한 설명을 곁들여 오류를
지적
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 다룰 'Misconceptions spread by K-16 Textbooks'에서는 K-6(미국의 초등교육과정: 유치원(Kindergarten)부터 초등학교6학년까지를 말함)교과서에 나타난 오류들 중 24개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
동성애 운명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동성애자들에게 신체적 및 정신적 피해를 입힌 행위는 범죄에 버금가는 인권침해라는
지적
이 없지 않다. 동성애자들의 인권 요구20세기에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성풍습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나라에 따라 동성애에 대한 태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우선 독재국가들은 동성애에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스타트렉에 대한 따뜻한 애정으로, 스타트렉의 과학적인 오류와 실현가능성을 날카롭게
지적
하고 있다. 착륙할 수 없는 우주선 대신에스타트렉에서 가장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장치는 “스커티! 나를 당장 순간이동시켜 줘!”와 함께 등장하는 순간이동장치다. 순간이동장치는 우주선 안의 ... ...
세계최대크기의 한외룡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잧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은 부산대의 김항묵교수"라고 쓴 바 있다고 김교수는
지적
한다.한편 양승영교수는 "76년 2월 '주간한국'에 한국 최초로 공룡화석을 발견했다고 발표하고, 이어 3월 대한지질학회에 보고할 때까지 김교수의 발견사실은 알려진 바가 없었다"고 말한다. 그래서 뒤늦게 먼저 ... ...
1. 아이콘에도 문법이 있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보편화되며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아이콘 역시 심벌로서의
지적
소유권 문제가 제기될 것이며 국제적인 표준화 또한 급진전될 것이다. 그러나 제대로된 아이콘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아이콘의 평가과정이 반드시 포함돼야 할 것이다. 아이콘을 만드는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