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코로나19 검사 비용 줄이는 방법은?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격자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자른 각 조각에 해당하는 집단을 추가 검사하고 결과를
확인
해 감염자가 누군지 특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27명을 2×2×2 격자의 각 교차점 27개에 나눠 배치하고 가로, 세로, 높이 방향의 평면으로 잘라 9명씩 검체를 섞어 검사하는 겁니다. 그러면 27번의 검사를 9번으로 줄여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정 교수는 “서양 풍경화의 구도와 구성 비율이 무작위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변했음을
확인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논문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0월 12일자에 실렸습니다. ... ...
[한페이지 뉴스] ‘이이제이(以夷制夷)’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이것으로 땀관을 막는 원리다. 효과는 미세 유리관이 장착된 기계 장치 실험으로
확인
했다. 연구팀은 미세 유리관에 땀과 조성이 같은 액체를 넣고 관 한쪽 끝에서 압력을 가했다. 인체가 땀관을 통해 땀을 배출하는 현상을 재현한 것이다. 그리고는 관의 다른 쪽 끝에 습기를 잘 흡수하는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메드아카이브에 게시된 ‘COVID-19’ ‘SARS-CoV-2’ 관련 논문은 총 8351건이다. ●동물 내 미
확인
바이러스 170만 종●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 82만 7000종 코로나19는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전염되는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다. 박쥐 몸속에 있던 바이러스가 천산갑으로 추정되는 중간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플라스마가 멈추는 상황에 대비해 장치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운전조건을
확인
하고 있다. 김 부장은 “이번 실험 결과는 ITER가 가동되면 아주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KSTAR는 핵융합 발전에 필요한 연구뿐만 아니라 플라스마 등 기초과학 연구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연골육종(chondrosarcoma)의 경우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사례에서 알트를 이용한다는 것이
확인
됐다.알트는 일반적인 텔로미어 유지 기전과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 우선 텔로미어의 길이 분포가 짧은 것부터 아주 긴 것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나타난다. 또 일반적으로 텔로머레이스를 활용하는 유지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방호복과 장갑을 착용한 채 33℃의 무더위 속에서 선원들을 맞이했습니다. 열이 나는지도
확인
하고요.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있지만, 선원들의 수줍고 반가운 인사를 통해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하늘길이 막힌 답답한 상황에 아라온호가 있어 감사했습니다. 남극의 연구 활동 목적이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대한 정보를 보내주는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과 독자적으로 개발한 위치
확인
시스템 위성 ‘베이더우’가 보내준 정보를 이용했어요.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중력가속도로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 ‘항공 중력 측정법’도 활용했지요. 또, 레이더로 정상에 쌓인 눈의 양도 ... ...
[수학뉴스] 꿀잠 방해 원인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PER 단백질이 핵으로 들어가는 것이 어려워 생체시계가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10월 26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1917년 한라산에서 씨앗을 채집해 심은 구상나무가 아놀드식물원에 남아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아쉽게도 현재 이 나무가 남아 있지는 않지만, 아직도 21그루의 구상나무가 아놀드수목원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윌슨의 학계 발표 이후 구상나무는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