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해
의견
평가
진단
생각
사고
견적
스페셜
"
판단
"(으)로 총 1,80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책 한 권을 만들기에 무리다. 즉 분량을 고려하면 두 이야기를 한 권으로 묶은 게 적절한
판단
으로 보인다. 아무튼 미크로네시아 여행기로 희귀한 풍토병을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은 있으니 말이다. 1부 ‘색맹의 섬’은 선천적인 전(全)색맹, 즉 망마가에 색을 감지하는 원뿔세포가 없어 흑백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책에서 이런 개입이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그는 “편안하고자 하는 본능이 더 현명한
판단
을 이기는 것이 인간 본성”이라며 “오늘날의 풍요로운 환경에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하게끔 인도하는 몸의 지혜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어린이가 유해한 음식에 노출되지 ... ...
[팩트체크] 옥중단식·수사압박으로 알츠하이머병 걸릴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나를 기소했냐’ ‘롯데는 다 내 재산’ 등을 말한 점을 들어 의사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
했다. 올해 3월 항소심에서도 변호인단은 신 회장의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한 의견서를 재판부에 제출하며 가급적 신 명예회장이 재판 출석을 피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여성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2018.08.18
속에서 연구자들은 실제 참가자들이 유무죄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정하도록 했고 자신의
판단
에 얼마나 자신이 있는지에 대해 물었다. 또한 혼자 반대되는 의견을 낸 사람(한 명을 제외한 모두가 참가자의 의견과 같은 의견을 내는 상황이었다)에 대한 신뢰도와 이 사람의 의견이 얼마나 들을 가치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를 설득한다
2018.07.14
검증되지 않은 이야기들, 사실을 교묘하게 편집하여 만들어진 거짓말들은 사람들의
판단
력을 흐리고 잘못된 선택을 하도록 만든다. 특정 집단을 향한 가짜 뉴스는 그들에 대한 혐오를 부추기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한번 잘못된 지식과 믿음이 생성되고 나면 그것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않으며 나는 딱 이러이러한(문과적이고 감성적인) 취향을 가진 사람이라고 성급한
판단
을 내렸던 거 같다. 나와 다른 취향을 가진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나와 다른 사람들이며 서로 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도 생각했던 거 같다. 하지만 커서 우연히 연구 설계나 통계와 관련된 일들을 하면서 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올라가지만 뇌의 수면압력계가 아데노신이라는 신호분자가 결합된 정도를 토대로
판단
한다는 게 문제다. 즉 아데노신수용체가 오작동하면 수면압력이 몸의 피로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바로 커피의 카페인이 하는 일이다. 카페인이 숙면을 방해하는 물질이라는 건 잘 알려져 있지만 사람들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
2018.05.12
내가 싫고 또 이런 일로 힘들어하는 내가 싫은 내가 싫네 등등 또 다시 자신을
판단
해버릇하는 것을 멈추고 그저 ‘내가 지금 많이 힘들구나. 그 일이 내게 중요한 일이었구나. 내가 그간 수고가 많았구나’하고 바라봐주면 되는 것이다. 자존감이 아무리 높아도(스스로를 정말 멋지고 괜찮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건 비윤리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정식 3상 임상시험에서도 그런지 아니면 약효를 정확히
판단
하기 위해 이중맹검으로 하는지는 모르겠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세 나라 가운데 여전히 두 자릿수 치사율을 보이는 우리나라에서 보건당국이 국민들에게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
2018.04.21
글을 읽게 했고(행복의 중요성 강조), 또 다른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행복 대신 정확한
판단
력을 기르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글을 읽게 했다. 그리고 나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행복한 영상(운동 선수가 금메달을 따는 영상) 또는 슬픈 영상(아내의 죽음)을 보여준 후 영상을 보면서 얼마나 기쁘고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