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보도
정보
뉴우스
뉘우스
소문
신문
d라이브러리
"
뉴스
"(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뉴스
] 육지에서 바다로 간 도마뱀 화석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최근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와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공동 연구팀이 고대 파충류 ‘바다사우루스 헤르조기(Vadasaurus herzogi)’ 화석을 발견했어요. 이 화석은 1억 5500만 년 전의 것으로 바다 사우루스는 육상동물과 수상동물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요. 수영을 위해 머리는 삼각형이고 꼬리가 길면 ... ...
[시사과학
뉴스
] 한파, 강해지고 길어진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한파도 지구온난화 때문이다?왜 이렇게 추워진 걸까요?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두 가지를 알아야 해요. ‘폴라 보텍스’와 ‘제트기류’랍니다. ‘폴라 보텍스’는 북극에서 빙글빙글 도는 찬 공기예요. 수십 일 또는 수십 년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 하지요. ‘제트기류’는 이 폴라 보텍 ... ...
[과학
뉴스
] 그래핀과 포스포린 장점만 모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은 디락입자(빛처럼 유효질량이 0인 상태로 움직이는 상대론적인 입자)가 있어 전하 이동이 빠르지만, 전자의 에너지 준위 차(밴드갭)가 없어 전류흐름을 제어하기가 어렵다. 또 다른 ‘꿈의 신소재’ 후보인 ‘포스포린’은 이와 반대로 밴드갭이 있어 전류를 제 ... ...
[그래픽
뉴스
] ‘아프리카 기원설’이 흔들리고 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잠깐 잠을 청했다. 집에 들어가자마자 시은이와 놀아준 뒤 TV를 켰다. 흘러나오는
뉴스
에 권 씨는 내일도 편집장에게 혼날 준비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교통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됐던 9세 어린이가 로봇 다리를 이용한 재활훈련을 통해 스스로 걸을 수 있게 됐습니다. 인체 삽입형 센서를 통해 이 ... ...
[과학
뉴스
] 손바닥만 한 유령입자 검출기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우주에서 날아오는 방사선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 많은 양의 입자가 생겨요. 이때 수명이 약 100만 분의 2초로,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뮤온’도 만들어지지요. 뮤온은 다른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고 그대로 물체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령 입자’라고 불리기도 해요. 그동안 뮤온 ... ...
[과학
뉴스
] 태양계 밖에서 온 소행성 첫 관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약 75만 개의 소행성과 혜성을 발견했어요. 하지만 모두 태양계 안에서 만들어진 것이었죠. 매년 태양계 밖에서 1~2개의 소행성이 태양계로 날아온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그 수가 워낙 적고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동안 발견하지 못했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하와이 ... ...
[과학
뉴스
] 잠수하는 파리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모노 호수는 바다보다 염분이 높고, 강한 염기성을 띠기 때문에 대부분의 동물이 살지 못해요. 그런데 모노 호수 아래 6m까지 잠수해 15분이나 견딜 수 있는 곤충이 있어요. 바로 ‘알칼리 파리’예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알칼리 파리가 호수 속 ... ...
[과학
뉴스
] 물고기도 헷갈리는 스파이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최근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실제 물고기가 동료로 착각하는 로봇 물고기를 개발했어요. 이 로봇은 열대어인 제브라피시를 본 따서 만들어졌지요. 몸길이는 7cm로, 제브라 피시보다 조금 크지만 머리와 몸통, 꼬리의 비율은 제브라피시와 똑같아요. 또 몸 빛깔이나 줄무늬 등 제브 ... ...
[과학
뉴스
] 배부른 먹이를 찾아라! 갯민숭달팽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생물들은 먹이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세워요. 거미줄에 걸린 곤충을 훔쳐 먹는 파리나 다른 육식동물들이 버린 고기를 먹는 하이에나 등 동물마다 사냥법도 제각각이지요. 최근 미국 포츠머스대학교 연구팀은 바다에 사는 갯민숭달팽이를 관찰해 새로운 사냥법을 발견했어요. 화려한 색과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