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뉴스
"
긴
"(으)로 총 2,22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아름다운, 갤러리 같은 지하철역 풍경
팝뉴스
l
2017.03.25
있는데 그 중 90개 이상이 바로 이런 아트 갤러리 형식으로 꾸며져 있어 세계에서 가장
긴
미술관이라는 닉네임을 얻게 되었다. 감각적이고 예술적인 형태의 역사 디자인은 전세계 사진작가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한데 영국 런던의 사진작가 코너 맥닐 또한 북유럽 여행길에 접한 스톡홀름 지하 ... ...
“헤레라사우르스는 공룡이 아니다?”…공룡 가족사 ‘막장드라마’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분류를 정하기 어려운 공룡이었다. ※ 용각아목은 얼굴이 작고 목이
긴
대형 초식공룡, 수각아목은 몸이 육중하고 앞발이 짧은 육식 공룡을 말합니다. 용각아목에 속하는 공룡으로는 아파토사우르스, 수각아목에 속하는 공룡으로는 티라노사우르스렉스를 들 수 있습니다. 공룡 가족을 잃은 ... ...
현관 앞에 있는 파충류 ‘깜짝’
팝뉴스
l
2017.03.23
열고 나갔더니 유리 너머로 훔쳐보는 존재가 있었다. 사람은 아니고 파충류로서 상당히
긴
몸이었다. 대형 뱀을 우리 집 내부를 훔쳐보고 있었다면 섬뜩하지 않을 수 없다. 호주에서 촬영되었다는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빠르게 퍼지면서 공포감을 전달하고 있다. 노크를 하듯 문이 열리기를 ... ...
키가 커지는 변신 자동차
팝뉴스
l
2017.03.22
제작했다. 변신 자동차는 3.8톤으로 보통의 지프 그랜트 체로키보다 두 배 무겁다. 또
긴
다리를 세우면 키가 2.7m에 이른다. 다른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파손시키거나 차체를 긁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니터링에 쓰이는 4개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다. 변신 자동차 험 라이더는 버라이즌의 험 ... ...
뉴욕의 구부러진 초고층 빌딩 프로젝트
팝뉴스
l
2017.03.21
제공 미국 뉴욕에 있는 한 건축디자인회사가 ‘세상에서 가장
긴
빌딩’을 세우자는 제안을 해 화제가 되고 있다. 오이오가 제안한 빌딩의 이름은 ‘더 빅 벤드(the big bend)’. 빌딩은 하늘로 높이 솟았다가 아치형으로 휘면서 다시 땅바닥으로 향하게 된다. 길이가 총 1219미터가 될 것이라고 한다. ... ...
쉐보레 '볼트EV', 서울에서 제주까지 충전 한번에 완주
포커스뉴스
l
2017.03.20
명소로의 장거리 여행도 두렵지 않을 것"이라며 소감을 말했다. 볼트EV는 국내에서 가장
긴
전기차 1회 충전 주행거리 383㎞를 공식 인증 받았다. DC콤보 충전 방식을 채택해 1시간 급속 충전으로 전체 배터리 용량의 80%인 약 300㎞ 이상 주행할 수 있다. 한편 쉐보레 볼트EV는 사전계약 첫날인 지난 17일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극심하게 상승했던 시기와 일치한다. 또 연구진은 한번 표백현상이 일어난 산호초는
긴
시간이 지나도 본래의 색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점도 발견했다. 고급 휴양지인 ‘리자드 섬’은 18년 전 잃어났던 표백 현상의 영향이 아직도 이어지며, 본래의 아름다운 모습은 사라졌다. 특히 지난해 ... ...
[이현경 기자의 온도차 ⑧] 트럼프의 칼바람 못 피한 美 과학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8
First, A Budget Blueprint to Make America Great Again)’입니다. 62페이지 분량의 예산안 첫 장에 박힌
긴
제목 중에서도 ‘아메리카 퍼스트’만 굵은 글씨로 돼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적 시각이 직관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입니다. 예산안의 골자는 국방과 국토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이들 ... ...
에이즈 바이러스 찾아낼 ‘몽타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7
이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가 HIV와 결합했을 때 표면에 생
긴
다. 이렇게 감염된 T세포가 바로 바이러스성 게놈(유전체)들을 만들어가며 병을 유발하진 않는다. 감염된 T세포는 특정 자극이 올 때까지는 활동하지 않고 숨어 잠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바이러스가 ‘잠재적 ... ...
결핵 치료제 내성 잡는 기술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7
적용할 수 있는 획기적 신약개발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신약개발에는 보통 10~15년의
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한국은 국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결핵 환자가 제일 많은 ‘결핵 후진국’이다. 인구 10만 명당 63.2명꼴로, 매년 3만5000명의 새로운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이중 2300명이 사망에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