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체부들의 고환 온도 측정한 연구자, 엽기노벨상 이그노벨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9.13
평화상은 가려움을 정량화해 발목과 등이 가장 가려운 곳임을 밝혀내고, 이 두
부위
를 긁었을 때의 쾌감도 가장 크다는 연구결과를 낸 국제공동연구팀에게 돌아갔다. 연구팀은 가려울 때 손으로 긁는 것은 실제로 가려움을 해소해준다는 것도 밝혀냈다 ... ...
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에 '면역 항암치료 개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1
최초의 단일클론항체 약물인 '허셉틴'을 개발했다. 단일클론항체는 항원이 갖고 있는
부위
중 한곳에만 결합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특정 암세포에만 들러붙는 항체에 약물을 붙여 환자에게 주입하는 방법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다. 울리히 단장은 HER2 단백질을 만드는 HER2 유전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
2019.09.10
가바) 뉴런은 β-엔도르핀 신호를 받으면 활성이 억제된다. GABA 뉴런은 중뇌의 복측덮개
부위
(ventral tegmental area)로 팔을 뻗어 도파민 뉴런의 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음주로 엔돌핀 수치가 높아져 GABA 뉴런의 활성이 억제되면 도파민 뉴런의 활성이 높아져 보상회로에 불이 켜져 기분이 ... ...
[독자와 함께 해봤습니다]내 안의 달리기 본능을 깨워라
과학동아
l
2019.09.07
전두엽을 포함한 대뇌피질의 두께도 더 두꺼웠다. 전두엽은 기억력과 판단력을 담당하는
부위
이고, 피질의 두께는 뇌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이 기억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연방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쥐 실험을 ... ...
뇌세포 조절해 비만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증가시켜야 한다. 김 교수팀은 뇌 내부 공간인 ‘뇌실’과 시상하부를 연결하는
부위
의 세포인 ‘띠뇌실막세포’에 주목했다. 이 세포는 음식에 함유된 영양소를 감지해 식욕을 조절한다. 김 교수팀은 띠뇌실막세포 속 ‘에너지공장’인 미토콘드리아의 단백질 가운데 ‘TSPO’가 영양이 넘치는 ... ...
[이정아의 미래병원]3D재건외과·BCI재활의학과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환자 개인에게 꼭 맞는 뼈나 심장 임플란트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는 환자의 손상된
부위
를 스캔해 찍어낸 3D 모형으로 수술 연습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3D 프린팅 기술은 자궁 속 태아의 이미지를 실제처럼 구현하거나, 수련의들이 수술을 학습할 때 ... ...
약물 과다투여 의료사고 막는 정밀한 유량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개념을 접목했다. 그 결과 140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파장의 레이저로 액체의 국소
부위
를 가열한 뒤 상류와 하류의 온도차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비접촉적 유량 측정법을 구현했다. 이석환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기계적 오류나 의료진의 판단 착오로 생기는 약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디슨이 4시간만 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
2019.09.04
등쪽 뇌교(dorsal pons. 빨간 점선)에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다. 뇌교는 잠의 조절과 관련된
부위
다. '뉴런' 제공 10만 명에 겨우 네 명 2009년에 이어 이번에 또 수면시간 관련 유전자 변이가 밝혀졌지만 두 유전자의 변이로 적정 수면시간의 개인차를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두 유전자 모두 ... ...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 브레인'이 뇌파 신호 보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2
배양 10개월 째인 뇌 오가노이드는 완두콩만 한 크기다. Muotri Lab 제공 다양한 신체
부위
로 분화하는 능력을 가진 줄기세포를 이용해 배양접시에서 만든 미니 인공 뇌가 살아있는 사람처럼 뇌파를 생성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이 배양한 미니 뇌는 콩만한 크기로 '오가노이드'라고 불리는 미니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가장 먼저 나타나는
부위
는 혀끝과 혀 측면이었고, 자극이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는
부위
는 입천장과 입술이었다. 마라탕을 먹으면 혀에서 먼저 매운맛을 느끼기 시작해 얼얼한 느낌이 입천장과 입술에 남아 있다가 사라지는 것이다. 어떤 재료와 함께 요리하는지도 매운맛의 강도에 영향을 미쳤다.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