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뉴스
"
분해
"(으)로 총 2,138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약사 포기에도 후퇴 없다’ 치매 조기 진단 춘추전국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맥길대 인간게놈학과 교수는 “게놈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RNA
분해
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며 “이를 바탕으로 치매를 조기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영상 진단법도 진화하고 있다. 최 연구부장은 “세계적으로는 의료 영상이나 유전정보 데이터에 인공지능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체내 깊숙이 숨은 박테리아도 초음파 메아리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7
신호로 잠수함을 감지하듯 체내 미생물을 탐지할 수 있을까. 체내 미생물은 섬유질
분해
같은 소화부터 비타민 합성, 면역에 이르기까지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는 다양한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때문에 체내 미생물을 분석하면 각종 질병을 진단하거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 ...
구멍 뚫린 오존층, 최근 회복 빨라진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인해 성층권의 기온이 높아져 낮은 온도 조건에서 염소 원자를 내는 CFC 기체가 잘
분해
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국제적인 공조로 CFC 등 오존층 파괴 원인 물질의 배출을 근본적으로 줄인 덕분이라는 설이다. 이런 가운데 이번 연구 결과로 오존층 회복에는 후자의 영향이 ... ...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
과학동아
l
2018.01.03
프로밴디트 연구원은 “모래에 붙어 있는 미생물은 바닷물 속의 탄소와 질소화합물 등을
분해
해 전 지구적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doi:10.1038/ismej.2017.19 ... ...
식약처 ‘생리대 위해 없다’ 최종 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7.12.28
생리대와 탐폰 총 13개 품목에 대해 농약 14종,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3종, 고분자흡수체
분해
산물(아크릴산)에 대해서도 위해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농약 및 PAH는 검출되지 않았고 아크릴산은 92~910 안전역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9월 조사한 기저귀 10개 품목 외에 370개 품목에 ... ...
[짬짜면 과학 교실] 숲이 우선일까? 나무가 우선일까?
2017.12.23
모르겠습니다. 베여 쓰러진 나무들은 미생물들의 양분이 되어 세월과 함께 천천히
분해
되기도 하지만, 더러는 땔감으로 사용되고 더러는 목재로 쓰여 다양한 가구나 도구가 됩니다. 가구나 도구가 된 나무는 사람 손에 죽어서도 폐기될 때까지는 사람을 위해 제 쓸모를 다합니다. 가만히 주위를 ... ...
[카드뉴스] 박테리아 vs 항생제 내성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7.12.20
균종(CRE)’ 중 하나인 NMD-1은 카바페넴을
분해
하는 효소를 지니고 있다. 카바페넴
분해
효소 유전자는 다른 균종으로 전파가 쉬워 문제가 되고 있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과 처방 받은 약을 임의로 중단하는 행위는 내성균을 발생시킵니다. 의사와의 상의 없이 약을 중단하면 병원균은 완전히 죽지 ... ...
이대목동 사망 신생아, 같은 경로로 감염됐다...항생제 내성균 유전자 일치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프룬디를 검출한 바 있다. 여기에 3명 모두 같은 CTX M-9형의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
분해
효소’(ESBL) 내성 유전자가 있음이 추가 확인된 것이다. 대표적 베타락탐계 항생제로는 페니실린 계열 및 세파 계열 항생제가 있다. 유전자 염기서열이 같은 것으로 보아 환아 3명의 감염 경로도 같을 ... ...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7.12.19
제공 잘게
분해
된 미세 플라스틱이 수중 생물인 물벼룩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윤주 건국대 보건환경과학과 교수팀은 미세 플라스틱이 물벼룩의 알주머니에 침투해 생식과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 ...
[카드뉴스] 알고 보면 쓸데 있는 먼지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환경 이야기 꽃가루는 ‘스포로폴레닌’이라는 매우 안정된 성분으로 세포가 감싸져 잘
분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땅에 떨어져 흙과 함께 쌓이면 오랜 기간 화석으로 남을 수 있지요. 과학자들은 빙하를 지름 약 10~20cm의 원통형으로 자른 ‘빙하코어’를 연구합니다. 빙하코어 속 기포에는 산소와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