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뉴스
"
측면
"(으)로 총 1,718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엑스 마키나’가 개봉된 2015년 현재도 여전히 현실성이 없는 공상의 영역이지만 다른
측면
에서 나름대로 진실을 담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소설이나 영화에 나오는 로봇보다 성능(외모와 지능)이 한참 떨어지는 휴머노이드라도 사람들의 정서를 건드릴 수 있는 단계에 와 있기 때문이다. ●로봇 ... ...
KISTEP, ‘2015 과학기술정책 10대 이슈’ 선정
2015.01.21
조사·분석을 추진하고, 통일준비위원회 안에 과학기술분야 분과위를 설치해 과학기술의
측면
에서도 통일을 대비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이밖에 ‘한국 제조업 신 중흥시대 개척’ 이슈를 강조하며 ‘한국판 리쇼어링 붐 조성’도 부각됐다. 한국판 리쇼어링 붐은 현재 중국과 베트남 등 해외에 ... ...
“북핵 무력화할 EMP탄 개발”… 예산조달 방안은 빠져
동아일보
l
2015.01.20
시스템) 등 기존 전력증강사업도 산적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군이 예산과 기술적
측면
을 고려하지 않고 ‘장밋빛 청사진’만 제시했다는 것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레이저빔 등 역비대칭 무기 등을 개발하는 데는 많은 기술과 기간이 요구된다”며 “창조국방 과제의 많은 부분은 중장기적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무리수의 불가피한 등장을 얘기한다. 필자는 수학에 소양이 없지만(과학의 언어
측면
에서 수학을 약간 공부한 정도다) 수학처럼 고도로 논리적 영역에서 아름답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들이 꽤 된다는 사실이 신비롭기만 한다. 변의 비가 3:4:5인 황금비 직각삼각형도 그런 예다. 서로 나란한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전자 위치에 대한 확률을 구하는 것 뿐이다. 많은 물리학자들은 양자역학의 이런 확률적
측면
에 반발했다. “신은 주사위를 던지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이 한 유명한 말이다. 사실 물리학자가 신을 들먹일 때쯤 되면 자기 고집을 절대로 굽히지 않겠다는 거다. 아인슈타인은 결국 끝까지 양자역학의 ... ...
[기고/박주헌]에너지개발정책 성과, 장부로만 평가 말자
동아일보
l
2015.01.13
에너지개발 성공률을 높여 장부상 수익성도 높여야 함은 당연하다. 하지만 에너지안보
측면
을 무시한 채 장부상 숫자만을 근거로 에너지 개발을 정쟁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는 것과 같다. 우리나라의 에너지자급률은 4%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언어와 연속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새의 지저귐과 사람의 말이 비슷한
측면
이 많다고 주장했다. 말러는 1966년 록펠러대로 자리를 옮겼고 1972년 부설 생태학/동물행동학현장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기도 했다. 1989년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로 자리를 옮긴 말러는 1994년 은퇴했다. 1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비판했다. 즉 어떤 풍선이라도 물을 채우면 공처럼 부푸는 것처럼 형태 가운데 어떤
측면
은 물리적 영향을 받은 것뿐이라는 말이다. 자일라허가 특히 흥미를 보인 생흔화석 가운데 팔레오딕티온(Paleodictyon)이라는 벌집표면처럼 생긴 육각형이 반복된 구조물이 있다. 자일라허는 과거 동물이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조직에서 낙인이 찍혀 오늘내일하는 삶을 살며 스트레스를 팍팍 받는 사람들은 (경제
측면
에서) 삶의 질은 좀 떨어지겠지만 과감하게 벗어나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며 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남들이 어떻게 평가하든 난 소중하니까.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증거를 기다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람이 사람인 건 거울뉴런 덕분? 사회적
측면
에서 파급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는 또 다른 신경과학이론도 검증의 도마에 올랐다. 바로 ‘거울뉴런(mirror neuron)’이다. 1996년 이탈리아 파도바대 생리학연구소 소장인 저명한 신경과학자 자코모 리촐라티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