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간
싱글
혼자
솔로
쏠로
야만인
d라이브러리
"
개인
"(으)로 총 3,195건 검색되었습니다.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걸어간다고 가정하면 20년 정도가 걸린다.문제를 조금 바꿔 과학기술이 발달한 덕분에
개인
용 우주선을 타고 달을 왕복하는 시대가 됐다고 하자. 지구에서 달까지 하루 만에 왕복할 수 있으려면 우주선은 얼마나 빨라야 할까. 대략 계산해보면 시속 3만km보다 빨라야 한다. 우주탐사선 중 가장 빠른 ... ...
우주정거장서 국산 귀마개 끼고 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생긴 이 시설은 우주인이 혼자 잘 뿐 아니라 옷을 갈아입거나 조용히 책을 읽을 수 있는
개인
공간이다.신체리듬 깨지지만 코골이는 준다우주왕복선이나 ISS에서는 24시간 동안 해가 뜨고 지는 광경을 16번이나 볼 수 있다. 둘 다 90분마다 한번씩 지구를 돌기 때문이다. 우리 몸은 망막에 들어오는 ... ...
집도 인생도 살면서 완성되는 미완의 건축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건축가가 지닌 지식의 총체를 전달한다는 의미”라며 “중국과 일본에 설계한 건축은 나
개인
의 특별한 감성과 철학은 물론 한국적인 미학을 전달한다는 자부심을 가질 만한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인다.승 대표는 자신이 설계한 건축물에 자주 들른다. 1977년 설계한 마산 성당에 들렀을 때 일이다.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핼리가 돌아간지 2개월 뒤 화재가 발생해 완전히 불타버렸다. 그의 천문대는 비록
개인
천문대였으나 당시 유럽 최대의 천문대였다. 헤벨리우스는 천문대를 재건하고 싶었으나 결국 뜻을 못 이루고 67세 생일을 맞아 유명을 달리했다.최후의 맨눈 관측자헤벨리우스의 관측 기록은 그의 생전에 절반 ... ...
누가 가장 많은 홈런을 칠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순서대로 타자 50명을 선정한 뒤 이들이 메이저리그 데뷔 후 5년간(2000타석 내외) 기록한
개인
자료를 이용해 은퇴시점의 통산 홈런수를 설명하는 수학 공식을 만들었다. 이 공식으로 현역 슬러거(야구에서 장타를 많이 날리는 타자) 푸홀스의 미래 통산 홈런수를 예측해봤다.통산 홈런수를 설명하는 ... ...
2. 디지털 솔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조준하면 경고음을 울리는 탐지기, 무선 비디오카메라와 레이더 거리측정기가 달린
개인
소총 등 미래병사에 적용되는 기술 중 일부를 이미 사용했다. 음식 패치나 생명유지 패치로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며 인간 병사를 ‘불사조’로 만들 ‘꿈의 전투복’이 등장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군사로봇 vs 서비스로봇군사로봇은 서비스로봇과 어떻게 다를까.우선 가격이다.
개인
이 사용하는 서비스로봇은 사람이 수행하는 서비스 비용을 대체할 만큼 경제적이어야 한다. 반면 군사로봇은 상대적으로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다.한국처럼 국방의무를 수행하는 병사가 있을 때는 ... ...
통신대란 예측하는 법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것이다. 평일 중에서도 특히 한주의 업무를 시작하는 월요일에 통화량이 더 많을 것이다.
개인
용 통화는 어버이날, 스승의 날, 설 연휴 전날처럼 상대방의 안부를 묻는 특별한 날에 많다고 예상할 수 있다. 단순히 안부를 묻는 일을 넘어 만날 약속을 해야 하는 날에는 통화가 더 늘어난다. 연인끼리 ... ...
기름땅에 꽃이 필까?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장갑차, 움직이는 모든 기계에는 유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난방은 물론 하다못해
개인
소총을 닦을 때도 유류를 사용할 정도니 정말 기름칠을 하지 않고는 군사시설이 제대로 돌아갈 수 없는 셈이다.유류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차량에는 주로 등유와 경유를 사용하고 항공기에는 제트유를 ... ...
한국형 우주식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레모네이드 같은 후식도 즐길 수 있다.일부 우주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개인
적으로 구입해 가기도 한다. 물론 NASA의 ‘음식실험실’이나 러시아 연방우주청의 생의학연구소(IBMP)에서 하는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 무중력의 우주공간에서 뜯었을 때 문제가 없는지, 떠다니다 사람이나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