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d라이브러리
"
무리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엔진은 이보다 훨씬 빠른 분당엔진회전수(rpm)에서 최대 힘을 발휘한다. 자동차 성능이 아
무리
좋아도 적절한 엔진회전수를 이용하지 못하면 제성능을 발휘하지 못한 채 폐차 직전의 고물차처럼 힘에 부쳐 '푸드득' 거리게 되는 것이다.자동차의 제원표에는 엔진목록에 최대마력과 최대토크라는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살고 있는 더 작은 생물들인 요충 요각류 패충류 등과 계산되지 않은 작은 다세포동물의
무리
를 포함한다면 종수는 쉽사리 억대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헤슬러박사는 해양 생물학자들이 대략적으로 추정하기 보다는 연구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가 모르는 것은 이제까지 ... ...
2. 화장품 아름다움 추구하는 분자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화장품이 생체에 직접 사용되는 만큼 생명현상과 직접적인 관련돼 있다고 해도
무리
가 없을 것이다. 주사약이나 붙이는 약이 피부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것도 화장품의 한 응용분야일 것이다.우리의 생활도 한 생명체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이루는 게면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모두 신맛이 난다’ 라고 결정하기엔 다소
무리
가 있다. 아
무리
생각해도 자동차의 배터리액을 맛 본 사람은 없을 테니까. 또 그것을 알려고 맛보려는 사람 또한 어리석다. 맛을 보아서 산성인지 알아보려는 것은 위험할 뿐 아니라 부정확한 방법이다.간단하면서 가장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간월호에 비해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로 삼는 고니가 많이 관찰된다. 10여마리의 큰고니
무리
가 일정지점까지 뛰다 한 마리씩 날아오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편 동해에서 관찰되는 혹고니 가족이 발견돼 시선을 끌었다.탐사 마지막 밤 그간의 일정을 총평가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탐사 실적은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대부분의 사람들은 최소한 1년에 1회 이상 치과에서 스케일링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아
무리
이를 잘 닦는다 해도 치아와 치아 사이, 치아와 잇몸사이에 치석이 형성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때때로 스케일링을 받은 환자가 치아가 더 시린 것을 느껴, 혹시 스케일링이 치아를 더 나빠지게 한 것이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한 선수가 한가지 종목만을 담당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일률적으로 답을 제시하기는
무리
가 있다. 그러나 그간 연구된 바를 살펴보면 세계 정상급의 선수는 구기종목의 기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어깨와 가슴이 좁고 하체가 강한 사람이 많다. 반면 신장은 그리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다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것이 스포츠의학 관계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몸에 맞지 않는 운동을 하면 어떻게 될까.
무리
한 운동으로 인해 상해를 입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진용수씨(서울중앙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는 “골프장에서 고혈압이나 협심증으로 사망하는 경우나 관절염이 심한 사람이 등산이나 조깅으로 상태가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남아 있다. 지금에 와서 한글 윈도 95에 포함된 확장완성형을 완전히 들어내라는 것은
무리
한 요구일 터이고, 다만 혹시나 확장완성형에 미련이 있는 개발자가 있다면 잘못된 생각임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죽은 코드’ 에 대한 미련 버려라한글 코드 문제는 지난해 12월 유니코드를 근간으로 하는 ... ...
2. 공통과학 성공의 조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거라는 우려가 높다. "통합과학인 공통과학을 한사람의 교사가 가르치는 것은 아직까지
무리
"라는 것이 현장 교사들의 말이다. 물론 이것은 교육부가 통합과학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선 한사람의 교사가 가르치도록 권장하는 것과 위배된다.한편 탐구학습이 중심인 공통과학에서 실험실습을 할 수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