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비
시설
장치
설립
세트
설치물
창설
d라이브러리
"
설치
"(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있어. 미국은 미국우주감시망과 같은 조직을 만들어 세계 곳곳에 레이더와 망원경을
설치
해 인공위성과 우주쓰레기 등 지구 궤도를 도는 물체를 감시하고 있어. 러시아나 중국, 일본 등도 레이더와 같은 장비를 이용해 우주를 감시하고 있지. 우리나라의 한국천문연구원도 다른 나라와 협력해 ... ...
도로 위 안전 책임지는 자동차 속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처음으로 에어백이 도입됐다. 최근에는 운전자 전용 에어백뿐 아니라 조수석과 뒷좌석에
설치
하는 에어백과 측면 에어백도 개발돼 인명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김종수 연구위원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기계과에서 자동차안전기술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자동차회사에 잠시 근무하다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기를 얻을 수 있다.국내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중심으로 우리 주변에
설치
한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연구하고 있다. 여기에도 압전체로 전기를 공급하는데, 기존 센서와 압전체 발전기를 하나의 칩으로 제작해 자가 발전이 가능한 센서를 ... ...
투명하게 빛나는 LED 사인보드 ‘루미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가시광선 영역(380~770nm)에서 빛투과율이 80%에 이르기 때문에 쇼윈도나 건물 유리창에
설치
할 경우 뒤쪽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루미시스에 쓰인 투명전극은 입는 컴퓨터나 전자종이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신축성이 뛰어난 투명전극은 휘거나 구부리더라도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이용해 전력을 공급하고 태양전지 셀은 부착돼 있지 않았다. 다만 전송기와 안테나를
설치
해 지상에서 모스전신신호만 받을 정도로 초보적 성능의 위성이었다. 실제 대포동 1호를 발사하고 지상국에서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을 준비도 안 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에 은하 2호에 실린 광명성 ... ...
방송국에 숨어 있는 빛과 소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그룹 가수나 오케스트라의 경우에는 가수와 악기마다 마이크를
설치
한다. 마이크는
설치
한 위치와 각도에 따라 가장 가까운 곳에서 나는 소리를 주로 담기 때문에 그 외의 소리는 잘 들어오지 않는다.각 마이크가 담은 소리는 개별적인 채널로 분류돼 녹음된 다음 부조정실로 들어간다.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뒤 수 ㎛로 얇게 썰어 시료를 거의 변형시키지 않고도 내부를 훤히 들여다본다.HVEM이
설치
된 2004년부터 지금까지 ‘네이처’를 비롯한 저명한 학술지에 HVEM을 이용한 연구 결과가 해마다 실리고 있다. 2007년 연세대 천진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구해 ‘네이처 메디슨’에 게재했던 기능성 나노입자 ... ...
진화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민트패드’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하거나 사진을 찍을 수도 있다.충전을 하거나 파일을 전송할 때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민트패드는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사파이어’란 프로그램을 내재해 PC에 민트패드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사파이어를 이용하면 민트패스에서 운영하는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하지만 국립민속박물관은 약 5분의 1정도 가격에 5배 크기의 훈증실을 제작했다.훈증실을
설치
한 뒤 소독에 들어가는 비용과 유물 피해는 크게 줄고 안전성은 향상됐다.오 학예사는 “훈증실이 없던 2004년까지는 주기적으로 1년에 두 차례 수장고 전체를 일반소독 하거나 수장고 전체를 훈증소독 한 ... ...
나방이 특정 냄새에 ‘필’이 꽂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하나씩 분리했다. 나방에는 뇌가 반응할 때마다 ‘뽑뽑뽑’ 소리가 나는 기계를
설치
했다.실험 결과 나방의 뇌는 화학물질을 하나씩 맡을 때는 반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담배박각시나방이 좋아하는 털독말풀(Datura wrightii)의 꽃에서 나오는 60여 개의 화학물질 중 특정한 9개가 조합된 냄새를 맡을 때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