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27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 가능성 거론 현택환 교수 "자유로운 과학연구환경 필요"연합뉴스 l2020.10.05
- 논문은 미국화학회지(JACS)에 게재됐고, 지금까지 1천660회 인용됐다. 현 교수는 균일한 나노입자 대량 합성 방법도 개발했다. 이 연구는 2004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발표됐다. 현 교수의 연구는 현재 전 세계에서 실험실뿐만이 아니라 화학공장, 산업계 등에서도 ... ...
- 코로나바이러스 분석장치가 손안으로 들어왔다동아사이언스 l2020.10.05
- 애플리케이션 ‘제노포’가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있다. USB 크기만 한 옥스퍼드 나노포어의 유전자 해독장치 ‘미니온’이 읽어낸 데이터를 분석해 30분 만에 코로나바이러스 염기서열을 해독한다. 가번의학연구소 제공 속도는 빨라도 정확도는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미니온과 ... ...
- 검출 감도 10억 배 높인 마이크로파 검출기 개발...양자 기술 응용 기대동아사이언스 l2020.10.05
- 세기를 계산한다. 흡수소재로 실리콘이나 갈륨비소 등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는데 1나노와트(nW, 1nm는 10억 분의 1W) 세기까지만 측정할 수 있어 이보다 작은 세기의 마이크로파는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웠다. 이 교수팀은 볼로미터의 소재와 구조를 개선했다. 먼저 흡수소재로 그래핀을 사용해 ...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동아사이언스 l2020.10.04
- 2018년에,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가 페로브스카이트 연구로 2017년에, 유룡 KAIST 교수(IBS 나노물질및화학반응연구단장)이 기능성 다공성물질 설계 연구로 2014년에 각각 우수연구자에 이름을 올렸다. ... ...
- [백신 업데이트] 코로나 백신 임상 3상 10종…전체 임상 42종동아사이언스 l2020.10.04
- 제약사 화이자 등 두 곳이 각각 시도 중이다. 이들은 유전물질인 리보핵산(RNA)를 지방나노입자 등에 포장해 인체에 주입하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영하 40~영하 70도의 극저온에서 운송해야 하는 등 기술적 어려움이 많은 편이다. 바이러스를 화학물질 등으로 무력화한 뒤 주입하는 가장 전통적인 ... ...
- 추석 연휴 읽어볼 만한 과학책들 '김민준의 이너스페이스', '오리진'동아사이언스 l2020.10.02
- 특히 관심을 갖고 읽어볼 만하다.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구슬을 연결해 만든 모듈형 나노로봇. ●지구의 그늘 아래 일군 역사, 루이스 다트넬 지음, 흐름출판 과학 저널리스트가 현생인류가 탄생해 이동하고, 문명과 역사를 이루는 과정을 지구의 장구한 변화와 함께 살핀 독특한 ... ...
- 원통에 넣고 돌리면 짠하고 약물이 나와요동아사이언스 l2020.10.01
- 하나에서 모든 과정을 거쳐 합성에 드는 시간을 크게 줄였다. 분자보다 큰 박테리아나 나노입자도 회전하는 용매에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1저자인 올게르 시불스키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연구위원은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합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수들을 ... ...
- "뉴런 연결까지 보이는 나노 수준 뇌지도가 목표" 동아사이언스 l2020.09.29
- 보유한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시냅스 수준에서 뉴런과 뉴런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나노 수준의 뇌지도를 그리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뇌연구원 기관고유사업과 한국연구재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수행됐으며, 논문에는 교신저자인 라 단장을 ... ...
- 신소재 '흑린' 변형 모습 초고속 전자현미경으로 최초 포착동아사이언스 l2020.09.28
-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실증적으로도 가치 있는 연구"라고 자평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 학술지인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에 9월 23일 자로 출판됐다. 연구 수행은 한국연구재단과 기초과학연구원(IBS), 삼성종합기술원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 ...
-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논문 인용 최상위 0.01% 연구자에 올라동아사이언스 l2020.09.23
- 우수연구자에 선정된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는 모두 네 명이다. 2014년 유룡 KAIST 교수(IBS 나노물질및화학반응연구단장)이 기능성 다공성물질 설계 연구로, 2017년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가 페로브스카이트 연구로, 2018년 로드니 루오프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IBS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 각각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