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면역특성 역으로 이용…독감 백신 맞으면 더 위험?
채널A
l
2013.11.01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2~3주 전. 1년 중 독감 예방접종을 맞는 사람들이 가장 많은 시기가
바로
요즘입니다. [인터뷰 : 이제중/경기 수내동] 맞고 나면 좀 약하게 앓고 지나가는 것 같아서. 예방접종의 원리는 한 번 감염됐던 바이러스를 면역세포가 기억했다가 다음 번 더 빨리 물리치는 겁니다. 하지만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쥐는 살아남았다. 알레르기 반응으로 분비된 단백질분해효소가 포스포리파아제A2를
바로
파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아나필락시스라는 치명적인 알레르기 반응 역시 벌독에 대한 제2형 면역반응의 극단적인 형태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거부가 존재 이유인 세 가지 현상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한다. 선도형, 창조형 연구가 강조되면서 기초과학 육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착각하면 안 될 것이 있다. 공학이 과학을 위해 존재하지 않듯, 과학도 공학을 위해 존재하지 않는다. 과학 지식은 그 자체로 사물에 대한 이해라는 측면에서 가치를 지닌다. 과학은 ... ...
사람도 쥐도 초파리도 잠을 자야만 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사실 우리 몸이 활동하면 노폐물이 나오기 마련이고 이런 노폐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이
바로
림프계다. 그런데 뇌에는 림프계가 깔려있지 않다는 게 문제다. 따라서 그동안 과학자들은 뇌의 경우 개별 세포들이 알아서 발생한 노폐물을 처리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지난해 네더가드 교수팀은 뇌에서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상당히 불건전한 조합처럼 보이는 맥주와 기저귀가 관계를 맺은 연유는 무엇이었을까?
바로
‘귀찮은 기저귀 심부름 나온 아빠들’이 원인이었다. 대개의 경우 엄마가 아이들 돌보느라 급하게 기저귀를 살 때 아빠들이 사러 가다 보니 기저귀 사면서 꼬박꼬박 자기가 먹을 맥주를 챙겨간다는 ... ...
[채널A] 노벨상이 궁금해요
채널A
l
2013.10.13
(여) 이런 노벨상의 올해 수상자들이 잇따라 발표됐는데요, 오늘 뉴스 Q &,A는
바로
이 노벨상 얘깁니다. 이영혜 기자와 함께 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포트] (남) 시청자들의 질문 보실까요? Q) 수상자는 누가 추천하고 선정 기준은? Q) 노벨상 거부한 사례는? Q) ... ...
Apple 신화의 시작점. 혁신기기 아이맥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08
되길 원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하고 상자에서 꺼내서 전원만 연결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컴퓨터를 만들기로 결정한다. 인터넷 시대를 맞이해 네트워크 기능도 대폭 강화했다. 사용자 중심의 GUI도 상당 부분 개선했다. 가격도 1,200불 선으로 책정하기로 결정한다. 처음에는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독일군의 폭격으로 죽었다고 생각하고 자책하다가 목숨을 끊었다는 것. 그가 자살한
바로
그날 아내와 딸들이 파리의 집으로 돌아왔다. 하루만 더 참았어도 그가 자살할 일은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비극적 죽음이 어떻게 영웅적인 죽음으로 둔갑하게 됐을까. 필자들은 이 사례를 통해 과학의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보이지만 원자 사이의 거리도 약간 짧고 각 원자의 전하도 중성이 아니다. 그래핀
바로
아래 hBN을 가져가 두 육각형 구조가 딱 겹치게 배치하려고 해도 안 되는데 육각형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멀리서 보면 이들 육각형이 여러 개 겹쳐진 상태의 주기적인 구조가 드러나는데 이를 ... ...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사자는 계열 자체가 달라 둘은 1080만 년 전에 갈라진 종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치타가
바로
퓨마 계열에 속한다는 것. 둘은 492만 년 전 헤어졌다. 그런데 퓨마는 신대륙에만 있고 치타는 구대륙에만 있는 건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재규어와 사자도 마찬가지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 1000만 년 동안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