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깊이"(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절전기능 앞세운 '그린PC' 대거 등장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대한 엄밀한 규정이 없는 탓이다. 그린 PC의 핵심은 절전기능절전형 PC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 하려면 그 뿌리가 되는 미 EPA의 에너지스타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전제 조건이다. EPA가 규정하고 있는 에너지스타 프로그램은 그리 복잡하지 않아 현재는 전류와 컴퓨터의 호환성, 생산자의 ... ...
- 안정동위원소 이용한 석유탐사 새기술과학동아 l1993년 11호
- 광역적 접근의 대표적인 예는 영국 북해 유전에서 실시된 것으로 해저 지표에서 1-3m 깊이의 피스톤코아를 3백㎢ 당 1개 씩, 총 6백3개를 채취, 분석해 매장된 석유를 확인한 경우다.두번째는 지구물리탐사에 의해 대규모의 배사구조가 확인될 경우 시추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내용물의 사전평가를 하기 ... ...
- 5초만에 주름지수 산출하는 장치 등장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구성돼 있다.먼저 주름의 형태를 화면에 읽어들인 뒤 3차원 좌표로 수치화하여 주름의 깊이와 크기 그 사람의 연령을 계산, 몇살 정도의 주름에 해당하는가 하는 지수를 산출한다.측정에 1초, 계산처리에 4초 이하가 걸린다는 이 장비의 성능은 주름예방화장품의 상품개발현장뿐 아니라 ...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인간 정신기능의 기초가 되는 기억. 기억은 어떻게 생성되고 보존되나. 기억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알츠하이머병은 무엇일까.기억은 인간의 지적발달과 인류문명의 창조를 가능케 해주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기능이다. 고도의 사고 기능과 학습기능은 기억을 바탕으로 대뇌에서 이루어진다.인 ... ...
- 형태 색깔 등 분야별로 전문처리 네트워크 구성해 바깥세계 이해과학동아 l1993년 10호
- 있다. 이 네트워크는 각기 따로 처리된 화상신호를 통합하고 바깥세계의 지식을 얻는데 깊이 관여한다. V1은 시각야의 '우체국'시각의 기능이 '보는'처리와 '이해하는'처리로 각기 나뉘어 있다는 생각은 19세기 후반부터 20년 전까지 신경생물학자들을 지배한 사고방식이었다. 그들은 시각정보는 ... ...
- '암기'와 완전결별 선언한 수학능력시험과학동아 l1993년 10호
- 깊다. 한국교육개발원 한종하 원장(물리, 54)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이번 수능시험이 깊이 있는 사고력과 분석력을 측정하는 데는 모자란 것이 사실이지만 기본 방향은 제대로 잡았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우리는 과학교육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했다. 지식 위주의 교육으로 중학교만 올라가면 관찰과 ... ...
- 해안선의 형태가 해일에 큰 영향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없었다. 지난 2월에도 홋카이도 동쪽 바다 밑에서 지진이 일어나긴 했지만 1백㎞ 이상의 깊이에서 발생한 탓에 해일이 일어나진 않았다.이미 이곳에서는 지난 1940년과 1983년 북미 대륙과 유라시아 지각판 사이의 구조지질학적 경계가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이동해 섬의 한쪽에 단층을 따라 지진이 ... ...
- 지구과학 - 화석, 지질시대의 기후생물분포 알려주는 자연의 역사책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알아보기로 한다. 석고 반죽과 물을 혼합해 부드러워질 때까지 저은 후 넓은 접시에 2㎝ 깊이 정도로 부은 다음 바셀린을 칠한 나뭇잎이나 조개 껍데기를 그 위에 놓는다. 다시 그 위에 석고 반죽을 부어 넣고 단단해지면 떼어 내어 반으로 갈라 조개 껍데기나 나뭇잎의 주형을 관찰한다. 이때 석고에 ... ...
- 미사일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살펴보고 지난 걸프전에서 명성을 떨친 토마호크와 패트리어트 미사일에 대해 좀 더 깊이 알아보기로 한다.미사일이란 자체추진 능력을 가지고 비행하면서 표적을 추적해 격파하는 무기다. 따라서 미사일의 일반적인 구조는 (그림 1)과 같이 미사일을 추진하는 추진기관과 비행 방향을 조종하는 ... ...
- 첨단조선공학으로 추적한 노아방주의 수수께끼과학동아 l1993년 08호
- 가진 바지(barge) 선과 같은 형상으로 정했다. 흘수(吃水, 물에 뜬 배의 선체가 물에 잠긴 깊이)는 성경(창세기 7장)을 근거로 선체 높이의 절반인 6.75m로 정했다.그 외에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선형자료인 무게중심의 위치, 관성능률, 선체 단면의 구조 등은 조선공학적인 측면에서 최대한 합리적인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