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공동연구팀에 포함된 14명의 한국 과학자들도 9월부터 이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끝까지 비밀을 지켰다. 오상훈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친한 친구가 물어봐도 답을 해줄 수 없어 괴로웠다”고 말했다.연구팀이 발표한 내용은 떠돌던 소문과 상당부분 일치했다. 지구로부터 13억 광년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르는 트리를 매번 끝까지 그려야 했다면, 알파고는 승률이 높은 단 하나의 트리를 끝까지 그린다. 알파고는 훨씬 더 적은 경우의 수를 보면서 딥블루보다 훨씬 더 힘든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한 그래픽카드의 발전 속도를 보면 언젠가 가능할 것이다. 그래픽카드(GPU)가 원래는 컴퓨터 ...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주로 참나무 같은 낙엽활엽수에 붙어 살아요. 큰 나뭇가지 끝에 새 둥지 모양으로 달려 있고, 최대 지름 1m까지 자라난답니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줄기는 마디마다 Y자 꼴로 갈라져요. 1년에 한 마디씩 새로운 줄기가 자라기 때문에 줄기의 수를 통해 나이를 추측할 수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현장 사진도 CCTV 사진과 겹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난 뒤 CCTV 사진 속 범인의 발부터 머리 끝을 지정해주면 3D로 스캔할 때 계측된 정확한 길이가 나온다. 이 방법으로 범인과 용의자의 키가 유사하다는 증거를 확보할 수 있다. 용의자가 돌아간 뒤 곧 장비를 챙겨 현장으로 출발하면 될 것 같다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씨앗을 넣으면 어떤 열매가 나올까? 노이만은 씨앗이 되는 수인 시드값을 제곱한 뒤 양 끝에서 숫자 몇 개를 떼어내고 남은 수를 제곱하는 방식을 썼다. 다른 씨앗을 심으면 다른 열매가 나오듯이, 다른 시드값을 넣으면 만들어지는 난수도 바뀐다. 물론 시드값이 달라도 같은 난수가 생길 수 있지만 ...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012년에 함께 세운 기록이에요. 원래 방송국 PD 출신이던 존 콜린스는 3년 여의 연구 끝에 가장 멀리 나는 비행기를 만들었어요. 하지만 어깨 힘이 부족한 본인이 직접 날리는 대신, 미식축구 선수 출신인 조 아유브와 함께 팀을 이루기로 했지요.여기서 종이비행기를 멀리 날리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을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과학자들이다.이것은 각광을 받는 한두 명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지루한 계산을 끝도 없이 하고 막대한 자료를 질리도록 해석한 학자들, 기기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수없는 반복실험을 한 엔지니어들이 뒤에 있었다. 과학과 합리성의 영역은 개미보다 작게 조금씩 늘어났고, 이런 과정이 쌓여 ... ...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무독성의 최종 산물(아세트산, 물, 이산화탄소)로 분해해야 비로소 해독 끝.ADH 효소를 잘 만드는 유전자(ADH2-2, ADH3-1)를 가진 사람은 술을 조금만 마셔도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빨리 만들어져. 아시아인과 이스라엘 사람, 그리고 마오리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에서 이런 유전자를 가진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빼곡히 들어차있는 그림, 뾰족한 바늘 끝. 이것들이 당장 누군가를 해치는 것도 아닌데 어떤 사람들은 극심한 공포를 느낀다. 고소공포증, 선단공포증, 환공포증 등 흔히 생각하는 공포증은 ‘특정공포증(specific phobia)’이라 불린다. 하도 많다보니 공포증이 흔한 것 같지만 우리나라에서 특정공포증 ...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계산합니다. 이때 손가락을 스크린에 대면 스크린에 흐르고 있던 정전기가 손가락 끝으로 몰립니다. 센서가 이를 감지해 손가락이 정확히 어느 위치에 닿았는지 2차원 좌표로 인지합니다.저쪽 물가로 가볼까요? 여기서는 물 위에 손가락을 대면 미끼가 던져집니다. 정전기가 몰리는 쪽으로 미끼를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