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수
특이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독특
"(으)로 총 2,091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상하면 머리 좋아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때의 전환점을 조용히 주시하면서 조용하게 호흡에 몰입하면 머리는 깨고 몸은 이완되는
독특
한 상태에 이른다고 한다. 이때 알파파 파장대를 발생시키는 명상테이프를 틀어줘 목표 상태에 빨리 도달하도록 도와준다. 수련 시간은 1회에 30분씩 매일 3차례를 실시했다 ... ...
적외선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실현되리라 생각되는 것들이어서, 이를 통해 현재의 과학기술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독특
한 기회를 제공받기도 한다.그 중에서도 근래 눈에 띄게 자주 등장하는 첨단 장비가 바로 부족한 인간의 눈을 대신 해주는 투시경이다. 어두운 밤에도 사물을 잘 볼 수 있게 해주는 야시경, 적외선을 ... ...
Ⅲ. 피라미드가 대장균 없앤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비교해 차이를 확인했다.실험 결과 ②평면에도 고유의 에너지 발생우선 각각의 도형마다
독특
한 영향력이 미생물에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나아가 도형마다 영향력의 세기가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즉 데와 히데오의 도형은 대조구에 비해 대장균의 생장을 45% 수준으로 억제하는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박사학위를 받은 구돌박사는 곰베에 돌아와 침팬지연구소를 설립했다.그녀만의
독특
한 침팬지 분류법과 침팬지 습성에 대한 여러 가지 발견은 영장류 동물학에 혁명을 일으켰다. 침팬지마다 개성을 인정해 일일이 이름을 붙여준 것은 야생의 침팬지 무리를 부모 자식이 있는 가족으로 변신시켰다. ... ...
1. 정신유전자는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것은 염색체를 짐사(giemsa)라는 염색물질로 염색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나타나는
독특
한 띠로 염색체를 구별한다.밀도 지도는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의 분포와 밀도를 나타낸다. 1만6천개가 넘는 유전자를 일일이 나타내기에는 너무 많을 뿐 아니라 일정하게 늘어서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 ...
인터넷으로 세계의 맥주 맛을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모아 둔 곳이 있다. 이 곳에 가면 우리가 눈으로 보기에는 비슷비슷한 맥주가 나름대로
독특
하면서 현란한 모습을 하고 있다. 전 세계 30개국 1백61가지 종류의 맥주가 총망라돼 있다. 물론 우리나라 맥주도 당당히 올라 있다. 인터넷으로 보는 맥주 맛은 어떨까.(http://micro.magnet.fsu.edu/beershots/index.htm ...
인해전술 구사하는 군대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여왕개미 만큼이나 많은 분비샘으로 가득 차 있다. 여왕개미는 분비물에서 발생하는
독특
한 냄새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일개미들에게 알린다. 그래서 군대개미의 수컷도 이를 흉내낸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에사이튼 군대개미는 약 35일 주기로 방랑생활과 정착생활을 반복한다. 한 15일간 방랑생활을 ... ...
당신도 인터넷 전문검색사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일본어까지 몽땅 출력돼 짜증을 안겨주기도 한다.한글 검색이 가능한 서치엔진들도 각각
독특
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테면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한글사이트 서치엔진인 심마니(http://simmany.hnc.net)는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한 한글정보검색시스템으로, 디렉토리서비스와 서치엔진을 적절하게 ... ...
일본 SF애니메이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연상케 한다고 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마지막 에피소드 ‘대포의 거리’(Canon Fodder)는
독특
한 스타일과 색채감각으로 일본의 내면을 재현한다. 영화는 단지 전쟁을 수행중인 어느 미래의 이동도시에서 전쟁을 위해 살아가는 소년의 하루다. 매일매일 적의 도시를 향한 포격이 반복되고, 학교는 ... ...
3. 잠재의식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갖고 있는
독특
한 과거의 경험이 현재 겪는 '병'의 원인일 수 있다. 최면을 통해 이를 치료하는 정신 분야를 살펴보자.사람의 기억이란 과연 무엇인가. 과학자들은 기억이 어떻게 입력되고, 저장되며, 필요할 때 끄집어 내 쓸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오랜 세월 동안 연구해 왔다. 하지만 아직 그다지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