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생각하는 스마트 웹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앞에 ‘도시’ 또는 ‘곤충’ 같은 태그를 달 수 있어 컴퓨터가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인식
한다.그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시맨틱 엔진은 최근까지 대용량 추론 검색시스템 가운데 가장 빠르다고 알려진 미국 리하이대의 ‘DLDB’보다 속도가 평균 90배 빨랐다. 정 교수는 이를 2007년 4월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구조를 알아야 상대가 자신의 짝인지 아닌지 확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렇듯 서로를
인식
하는 것은 자신의 생명을 담보로 할 만큼 중요하다. Interview 오병하 단장한계를 깨는 열혈 커플매니저“생체분자는 눈에 안 보일 정도로 작지만 저마다 천생연분이 있습니다.”오병하 단장은 눈에 보이지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
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기술을 불안해하고 있어. 하지만‘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 미래에 새로운 바이오
인식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의 유출과 위조를 막는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우리의 미래는 더욱 편리하고 안전해지겠지? 물론 그 땐 전자레인지에 여권을 넣는 사람도 없을 거야. 내 몸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열쇠로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나눠 만든 지도다프로모터는 DNA로부터 RNA를 합성하는데 관여하는 여러 단백질들이
인식
하는 유전자 부위다 아미노산 부호화 부위의 앞쪽에 위치하며 전사가 개시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사란 유전자 DNA를 주형으로 해 RNA 중합효소가 RNA를 합성하는 과정이다게놈 내에 존재하는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없애는 일종의 진통제인체가 자극을 받으면 수용체가 반응해 어느 수준까지는 통증으로
인식
하지 않는다 이 상태까지를 통증 역치라고 말한다 이 상태 이상의 자극이 오거나 축적되면 세포에 자극이 전달돼 통증을 느낀다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쌍성 가운데 밝게 보이는 별은 주성, 가볍고 어두운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실을 확인했다.리아오 교수는 대장균의 대사산물인 아세트산을 대장균이 서로를
인식
하게 하는 신호 물질로 이용했다. 그리고 대장균이 많이 모일수록 증식 속도가 빨라지게 하는 대신 서로의 아세트산에 반응해 빛을 내도록 했다.그가 이런 유전자회로를 만드는데 사용한 주요 부품은 무엇일까.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쥐는 전염병을 옮기는 해로운 동물로 피해야 하거나 위생을 위해 죽여야 하는 동물로
인식
돼왔다. 사실 쥐는 유행성 출혈열이나 쓰쓰가무시병 같은 인수공통전염병을 옮길 수 있다. 왠지 쥐가 있다면 위생이 청결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쥐 게놈은 인간 연구 위한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공개돼 기술력만 있으면 원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무한한 가능성의 분야로
인식
되고 있다 임베디드 리눅스의 응용분야는 CPU와 보드(Board)가 장착된 모든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각종 개인정보단말기(PDA)와 정보가전기기, 그리고 인터넷과 관련된 통신 및 네트워크 장비를 비롯해 공장자동화(FA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산라인의 클린룸을 방불케 하는 실험실도 철저한 보안 아래 운영된다. 출입할 때 지문
인식
장치를 거쳐야 하는 것은 물론 약간의 먼지도 허락하지 않도록 에어샤워를 하고 실험복을 갖춰 입어야 한다. 보통 반도체 클린룸의 먼지 기준은 지름 0.5μm 이상인 먼지가 30㎤의 부피당 1000개보다 적어야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느낌이 들지는 않을 걸? 그 비밀을 알려 줄게.우리 뇌는 사물의 형태나 윤곽, 크기를
인식
할 때 색깔보다 밝기를 먼저 이용하지. 주황색이든 노란색이든 집채만 한 크기의 자동차가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야. 밝기로 윤곽을 파악한 다음에 밝기가 비슷한 부분은 색깔로 더 자세히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