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흔들림
격동
동요
떨림
바이브레이션
비브라토
전율
d라이브러리
"
진동
"(으)로 총 1,75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열하고 녹이고 태운 뒤에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것이 그 예다. 얼음을 가열하면 구성입자(물분자)는 그대로지만 고정된 위치에서
진동
하는 폭이 커기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2. ④ 설탕이 물에 녹았을 때 용액의 질량은 어떻게 될까? 설탕이 녹아 눈에 안보이게 되니까 흔히 '설탕은 무게가 없다'고 생각한다. 혹은 '설탕이 물분자 ... ...
킬라우에아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얘기였다. 물론 그 벌은 화산의 폭발이었다. 그래서 하와이 사람들은 지금도 지표가
진동
하면 펠레의 분노가 임박했다고 믿는다. 성난 펠레를 달래기 위한 의식이 자주 거행되었는데 이 행사는 헤이아우라는 일종의 사원에서 열렸다고 한다.킬라우에아 주변의 헤이아우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섬의 ... ...
건축자재의 신소재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그대로 경화시키는 특수 콘크리트 기법이다. 모래나 철근을 사용치 않고 시공시에도
진동
작업이나 다지는 작업이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또 이 기법에서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잘 도포된 자갈의 극히 일부분만이 형틀과 접촉하기 때문에 형틀의 마모손실률이 낮으며 훼손된 부분이 있다손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노출이 필요하므로 반드시 릴리스와 삼각대가 필요하다. 릴리즈는 장시간 노출 동안
진동
을 주지않고 B셔터를 열도록 해주며 삼각대는 조리개가 열려있는 동안 안정된 촬영을 가능케한다.혜성은 별과 달리 펴져있는 상이므로 같은 등급이라도 어둡다. 고정촬영에 의한 노출시간은 한정되므로 ... ...
인공보석의 실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수열법) 이다. 1945년 이후 미국 일본 소련 등 각국에서는 대량으로 수정을 합성해
진동
자 및 수정시계용 등 많은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색 수정에 약간의 원소를 첨가하면 첨가된 원소에 따라 자수정 연수정 시트린 등도 인공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제2차대전 이후 미국의 보석시장에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주파수는 기가헤르츠(㎓)단위다. 대개 30㎓=30X${10}^{9}$㎐ 이상의 주파수를 쓰므로 엄청난
진동
수임을 알 수 있다 (음성신호는 20㎐~20㎑에 속한다).전파의 전달경로가 복잡해전파가 처음 이용되기 시작했을 때에는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높은 주파수를 쓸 수 없었다. 따라서 장파나 중파와 같이 비교적 ... ...
우주를 보는 또 하나의 창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열적인 전파와 고에너지 전자와 자장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싱크로트론 복사, 플라즈마
진동
등에 의한 비열적인 전파로 나눌 수 있다. 또 열적인 전파는 전리가스들의 전파, 달이나 행성과 같은 고체의 원자 분자가 내는 선(線)전파로 나눌 수 있다.특히 원자 분자가 내는 전파의 원리는 빛과 ...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경우에는 오일증기의 오염염려는 없으나 펌프자체가 고속회전을 하므로 경통에 직접
진동
을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 또 정기적인 축베어링 교체 등 보수작업이 따른다. 텅스텐 필라멘트 대신에. LaB6 필라멘트를 쓰려면 방금 말한 진공시스템 외에 이온게터펌프(ion getter pump)를 추가로 사용, 진공도를 ... ...
나방의 분신자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전파되는 소리에는 귀머거리나 마찬가지다. 그러나 발자국 소리 같이 땅으로 전해지는
진동
은 알아낸다. 방울뱀은 어둠 속에서도 온혈동물인 먹이가 접근하는 것을 탐지하는 특수한 기관이 있다. 그것은 콧구멍 옆의 조그만 구멍인데, 이 막공의 내부에는 열방사의 변화를 감지하는 세포가 모여 ... ...
PART Ⅲ 지능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기술의 난이도와 복잡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 음성인식기술. 사람마다 음색이 다르고 성대
진동
수, 음의 고저, 음의 장단이 천차만별이어서 음성인식의 기본모델을 설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현재까지 개발된 인식능력은 한글자씩 끊어서 발음하는 비연속단어로 3천단어정도에 불과하다. 이른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