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글씨는 길쭉하게 써야 차 안에서는 정상적인 크기로 보인다. 얼마 전 누나가 사온 책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진중권, 휴머니스트)’에서 눈여겨 본 그림이 있다. 한스 홀바인이라는 화가가 그린 ‘대사들(the ambassa-dors)’이다. 그림 아래 부분을 유심히 보면 뭔가 이상하다. 그림의 왼쪽 아래 ... ...
- 재미가 쏙쏙, 창의력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4호
- 도대체 레고로 어떻게 수업을 하는 걸까요? 공간지각능력을 높여라!지니움의 친구들은 책의 조립도를 보면서 자동차나 비행기, 헬리콥터, 호버크라프트 등 총 아홉 가지의 탈 것 중 만들고 싶은 두 가지를 만들었어요. 2차원의 평면에 그려진 조립도를 보면서 3차원인 입체로 레고 블록을 맞추는 ... ...
- 화학에 만화를 더하면 펑! 박동곤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3호
- The Land Before Time, 루카스)슈렉(드림웍스)토이스토리(디즈니)가장 좋아하는 만화책가필드(짐 데이비스)반대편(게리 라슨)캘빈과 홉스(빌 워터슨)회사에서 일을 잘하는 사람을 살펴봤더니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이 많더래. 교수님은 요즘도 ‘원피스’ 같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애니메이션을 보신대. ... ...
-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2호
- 갈라진 입술을 치료하는 약으로 썼다. 또 중세시대에는 귀지를 오줌과 함께 책을 만드는 데 쓰는 색소로 사용했다. 콧물 VS 침더 끈끈한 분비물은?끈끈하기로 치면 앞뒤를 다투는 콧물과 침! 둘 중에서 누가 더 끈끈할까요? 분비물의 끈끈한 정도는 ‘뮤신’이라는 성분이 결정해요. 보통 침은 ... ...
- 헛다리 박사의 헷갈려~ 생물도감 대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 드디어 기회가 왔군요! 그런데 무슨 일이냐고요? '헛다리 생물 도감'이라는 엄청난 책을 만들고 있거든요~. 앗! 잠깐만! 저기 다람쥐가 보이는군요. 다람쥐가 눈치채지 못하게 몸을 낮추세요! 다람쥐? 청설모? 너무 헷갈려!정말 귀엽죠? 다람쥐는 도토리나 밤 같은 열매를 즐겨 먹어요. 그리고 9월 ...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집에 돌아가면 그동안 구석에 쌓아놔서 먼지가 잔뜩 쌓여있는 책을 좀 봐야겠어. 어떤 책부터 읽어야 할지 벌써부터 고민되는 걸?특집 한 걸음 더!나만의 활자를 만들어 보자!고려 시대에 가서 목판 만드는 것도 보고, 인쇄 기술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도 봤더니, 나도 활자를 하나 만들어 보고 싶어 ... ...
- 현장출동! 독도탐사대 강치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많은 사람들과 함께 고민하고 싶어 ‘독도 인 더 헤이그’라는 책을 쓰게 됐지요. 이 책을 보신 외교통상부 장관님께서 함께 일하자는 제의를 하셔서 독도법률자문관이 되었답니다.판사님이 소설을 쓰셨다니 놀라워요. ‘독도 인 더 헤이그’는 어떤 내용인가요?‘독도 인 더 헤이그’는 한국과 ... ...
- 영재소년 정재웅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게 비법인 것 같아요.그렇다고 부모님이 책을 많이 읽으라고 말씀하신 적은 없어요. 그냥 책을 보는 게 재미있어서 봤지요. 어과동을 읽으면서 공부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에요.저와 지웅이 엄마는 지웅에게 즐겁게 할 수 있는 것을 하게 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보통 부모님들은 지금 ... ...
- 공부도, 취미도 척척! 미래의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만나게 되었지요. 덕분에 과학에 더 흥미를 갖게 된 것 같아요. 지금도 여러 분야의 책을 많이 읽고 있어요. 앞으로 과학이 아닌 다른 분야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질 거예요. 음악도 하고, 봉사활동도 열심히 하고요.Q 카이스트의 자율전공학부에서 공부하고 있는데,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하고 싶나요 ...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8호
- 곳을 볼 때 모양체근이 수축하면서 두꺼워지고 먼 곳을 볼 때는 다시 얇아지지요. 그래서 책을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할 때처럼 가까운 곳을 집중해서 오랫동안 보게 되면, 모양체근이 수축한 상태로 고정돼요. 이 때문에 먼 곳을 볼 때도 수정체가 얇아지지 않아 근시라고 생각하기 쉽지요. 이것이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