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뉴스
"
미국 항공 우주국
"(으)로 총 2,30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 과학 전망]기해년 덮친 돼지전염병,GM 모기 날아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의도다. ■ 다음 임무는 토성 위성 vs. 혜성
미국항공우주국
(NASA)는 올해 7월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의 다음 차례를 계획한다. NASA는 두 탐사지 후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하나는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을 반자동 쿼드콥터 드론 ‘드래곤플라이’로 관찰하는 임무다. 타이탄 표면 액체 메탄의 ... ...
옥토끼, 음모론과 신화,동경의 대상 달 뒷면 베일 벗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유명하다. 인류 최초 유인 달 착륙선인
미국
의 아폴로 11호을 만든 미
항공우주국
(NASA)는 이런 음모론 중 사실인 것은 하나도 없다고 밝혔다. 달 뒷면에 실제로 착륙한 것은 이번 창어 4호뿐이다. 달에 관한 여러 음모론은 영화제작자들의 구미를 당겼다. 1990년도에는 ‘달의 어두운 곳'이라는 영화가 ... ...
美는 '선긋기' 러·유럽 '기대감'…최초 달 뒷면 착륙을 보는 엇갈린 시선
2019.01.05
있는 것은 단연
미국
이다. 짐 브리덴스타인
미국항공우주국
(NASA) 국장은 3일 트위터를 통해 “중국의 창어 4호가 달 뒷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한 것 같다. 축하한다”며 “이는 인류 최초이며 인상적인 성과”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
의 우주안보 전문가인 존슨 프리즈
미국
네이벌워대 교수는 CNN의 ... ...
한국은 2020년 달 궤도선 발사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또는 내년 한국에 도착해 조립될 예정이다. 특히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 개발 중인 ‘섀도캠’은 달 뒷면의 어두운 지역을 관측하는 장비로 달의 물 분자 탐지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단계는 2030년까지 자력으로 개발한 달 탐사선을 자체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에 실어 보내는 게 목표다. ... ...
中 ‘창어 4호’ 인류 사상 첫 달 뒷면 착륙 성공(종합)
2019.01.04
부담을 인식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편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올해 ‘아폴로 11호’ 유인 달 착륙 50주년을 맞아 민간기업이 개발한 달 착륙선을 연내 발사할 계획이다. NASA는 이번 달 착륙선을 시작으로 향후 10년 동안 총 26억 달러(약 2조9120억 원)를 투입해 민간 주도의 새로운 달 탐사 ... ...
"인류 최초로 화성에 사는 부부가 되고 싶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문제를 들었다. 그 사이 경쟁자들도 많아졌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2030년 중반까지 인간을 화성에 보내겠다는 ‘오리온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미국
민간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는 7년 내로 화성 여행을 가능하게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인류의 첫 화성 식민지를 ... ...
퀸의 기타리스트, 뉴호라이즌스호 주제곡 만들어 헌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뉴호라이즌스호의 모습을 상상한 그림이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뉴호라이즌스호는 지금까지 인류가 탐사선을 보낸 천체 중 지구에서 가장 먼 곳까지 도달해 우주 탐사에 있어 새로운 역사를 기록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영국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메이는 작년 12월 31일
미국
존스홉킨스대 ... ...
소행성 ‘울티마 툴레'는 눈사람 닮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014MU69(울티마 툴레)’에 근접조우하는 데 성공한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무인탐사선 ‘뉴호라이즌스’호가 울티마 툴레의 첫 번째 정밀 촬영 영상을 보내왔다. 2일(현지시각) NASA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울티마 툴레는 두 개의 공 모양 천체 두 개가 서로 붙은 눈사람 모양의 소행성으로 밝혀졌다. ... ...
우주 탄생 이후 137억년간 별빛의 총량
과학동아
l
2019.01.03
고에너지를 지닌 감마선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이 9년간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감마선의 양을 알아냈다. 그 결과 광자의 총합은 약 4×1084개로, 동양에서 가장 큰 숫자단위인 무량대수(1068)보다도 약 4경 배 많았다. 연구팀은 약 100억 년 전에 별 ... ...
NASA 뉴호라이즌스, 태양계 가장 바깥 소행성 접근
2019.01.02
일 이 천체에 3500km까지 접근했다. -사진 제공 NASA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무인탐사선 ‘뉴호라이즌스(New Horizons·새로운 지평선)호’가 새해 첫날 태양계의 가장 바깥쪽 소행성인 ‘울티마 툴레(2014MU69)’에 3500km까지 접근했다. 지금까지 인류가 탐사선을 보낸 천체 중 지구에서 가장 먼 곳까지 간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