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에서 잡은 초대형 지네
팝뉴스
l
2018.10.20
위 사진은 괴물 같은 지네의 모습을 담았다. 문제의 지네는 사람 하체 길이다. 1
미터
는 될 것 같다. 이런 지네에 물리면 치명적일 수 있을 것 같다며 해외 네티즌들은 몸서리를 친다. 사진은 중국에서 촬영된 것으로 전해진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빛으로 양자상태 자유자재로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양자 진동주기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 자료: 부산대 연구진은 2016년 수십 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양자 고리(링)를 활용하면, 빛으로 아하로노프-봄 효과를 기존보다 수천 배 높은 온도에서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양자 고리에 쬐는 ... ...
악어인가 공룡인가, 역대급 악어 ‘화제’
팝뉴스
l
2018.10.16
총을 이용해 이 악어를 죽인 것은 소와 양 등 가축을 먹어 치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7
미터
에 이르는 악어는 역대 가장 큰 공포감을 불러일으킨 ‘공룡 같은 악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고혈압·뇌질환 치료 효과 높이는 ‘칼슘채널’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소기관으로 모아 한꺼번에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그 다음 세포 속에 크기 1㎛(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m) 정도 크기의 극도로 작은 미세전극을 넣어 전류의 흐름에 따라 칼슘의 이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관찰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인체 속 칼슘 형태는 알파1, 베타, 알파2감마의 3가지로 ... ...
국내 연구진 ‘원자 두께’ 2차원 물질 생산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셀로판 테이프 방법이 대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경우, 크기는 잘 해야 수백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수준(으로 작은 편)입니다. Q. 2차원 물질의 장점으로 언급되는 광학적 성질은 투명성이 대표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종구조소자를 만들어 발광 소자로 활용할 ... ...
“진짜 LED TV 구현 가능해진다”… 고효율 마이크로 LED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LED는 최근 조명장치 등으로 쓰이지만 밝은 빛으로 총천연색을 낼 수 있어 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m) 단위로 작게 만들면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하지만 LED광원을 이정도로 작고 효율이 높도록 만들기 어려워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태근 고려대 ... ...
원자 한층 두께 전자회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2
활용한 2차원 구조의 에칭 기술을 개발했다.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 나노
미터
(㎚·10억분의 1m)두께로 전자회로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몸에 부착하는 초소형 전자기기나 극도로 얇은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이관형 교수와 ... ...
초고해상도 나노픽셀로 고효율 OLED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효율이 급격히 떨어져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연구진은 수백 나노
미터
크기의 나노 픽셀을 이용해 최적의 구조로 설계해 고휘도에서 기존보다 2~3배 높은 효율을 가진 OLED를 생산했다. OLED 내부에서 전자가 움직일 때 에너지를 가진 준입자인 엑시톤이 생성된다. 이 엑시톤의 30~40%가 ... ...
[과학 읽어주는 언니]총알 막고 화염에도 거뜬한 그래핀 슈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원자들이 강력한 공유결합을 통해 육각형 벌집 모양으로 연결돼 있다. 두께는 0.3㎚(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정도. 2차원 평면 구조다. 그래핀을 규칙적으로 쌓아올려 3차원 구조로 만들면 연필심에도 사용하는 흑연이 된다. 놀라운 점은 그래핀의 강도가, 지구상에서 가장 강한 물질로 ... ...
올해 노벨상 받은 광학집게로 신개념 광다이오드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주변의 빛(광자)은 제각각의 파장과 진동수를 갖고 있다. 자외선과 같이 파장이 300나노
미터
(㎚, 10억분의 1m)정도로 짧으면 에너지가 높고 진동수가 크다. 광자가 가진 고유 진동수와 공명하는 방식으로 만든 광다이오드 소자는 자신과 맞는 공명주파수 대역에서만 작동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