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산출
제조
출산
저작
연출
출생
뉴스
"
생산
"(으)로 총 6,97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폐수에서 전기와 식수 동시에
생산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장 선임연구원은 "물부족 문제 해결과 친환경 에너지
생산
이 동시에 가능한 신기술로 수질 관리시스템 및 비상전력 시스템으로 응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윤태광 명지대 교수팀과 함께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가톨릭의료원, AI뇌과학 등 ‘기초의학’에 10년간 2000억 '뭉칫돈'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단축하기 위해 연구자들에게 시설과 예산을 지원한다. 세포치료제는 기초연구 단계에서
생산
시료가 허가를 받아 임상까지 가는 데 긴 소요시간과 낮은 성공확률이란 장벽이 있었다. 첨단세포치료사업단은 어려운 연구개발 환경을 돕기 위해 세포배양,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 공정개발 등의 ... ...
올해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김인호·윤철희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면역체계 분석 플랫폼 구축에도도 기여했다. 유욱준 과기한림원 원장은 “축산의
생산
성 및 동물의 면역력 향상은 동물과 함께하는 인류의 건강에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두 수상자의 연구는 축산 분야 연구와 산업의 발전, 동물과 인류가 공존하는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도 기여할 ... ...
고병원성 AI·돼지열병 난리통에 3년째 잠잠한 구제역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7개 혈청형 중 한국과 인접한 국가에서 유행하는 혈청형인 O형과 A형을 기반으로 백신을
생산
할 계획으로 농가들의 백신 선택권을 넓힐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금속 3D 프린팅 방법은 고출력 밀도 레이저를 사용해 금속 분말을 녹인 뒤 융합해 부품을
생산
하는 SLM(Selective Laser Melting) 방식이다. 이 기술은 장비의 규모가 매우 크고 전력 요구 사항이 높다. 또 가연성 있는 금속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흡기에 좋지 않으며 미세중력 환경에서 제어하기 어렵다는 ... ...
미토콘드리아에 약물 정확히 전달...항암제 효능 개선 나노겔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전달할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강한창 가톨릭대 약대 교수팀이 생체에너지
생산
및 세포사멸을 담당하는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를 표적으로 약물을 전달·방출하는 나노겔을 개발하고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항암제의 효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백신 무역적자 1조원 육박..."자급 위한 정부의 '선구매' 지원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개발해야 한다"며 "한국은 이제 개발도상국도 아닌 선진국으로서 이제는 정말 기술력,
생산
능력을 자체적으로 갖추는 길을 진지하게 고민할 때가 된 것 같다"고 덧붙였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국제적 수소 공급망 최적화 방법 확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 이 촉매는 안정성이 높고 대량
생산
이 가능한 만큼 친환경 수소
생산
을 앞당겨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통용된 백금이나 이리듐 등 귀금속 촉매는 가격이 비싸 상용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소널 머티리얼스' 1월호 뒷표지 ... ...
페인트 칠하듯 발라 저렴하고 성능 좋은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두께를 기존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줄여 고가 희귀원소인 인듐과 갈륨 사용량을 줄여
생산
성을 개선했다. 또 태양전지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비정질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후면 계면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후면 계면 제어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다. 그 ... ...
하수 속 암모니아, 유용한 자원으로 '탈바꿈'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탄소배출 저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연구팀은 제작과정이 단순하고 대량
생산
이 가능한 암모니아 흡착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한 흡착제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혼재하는 조건에서도 암모니아 선택성이 높고 암모니아 흡착효율도 다른 흡착제보다 월등히 높다. 흡착된 암모니아는 간단한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