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과대학
전문학부
대학원
과
학과
뉴스
"
학부
"(으)로 총 1,727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30세 女과학자 오보카타 ‘제3의 만능세포’ 개발
동아일보
l
2014.02.04
출신으로 성적보다는 면접과 논술 등을 중시하는 입학사정관(AO) 전형으로 와세다대 이공
학부
에 입학한 1기생이다. 대학 때 해양 미생물을 연구했으나 ‘정말 하고 싶은 것’을 찾아 대학원 때부터 재생의학에 몰두했다. 이번 발견도 화학과 출신으로 생물학계의 ‘이런저런 것은 안 된다’는 선입견 ... ...
"뭘 의미하는지 모르겠다"… KAIST 로고 변경 설왕설레
동아사이언스
l
2014.01.29
공감대를 사고 있지 못하다는 것. 실제로 KAIST 학생회는 새로운 UI에 대한 1565명의
학부
생과 대학원생의 설문 결과를 발표했는데, UI 교체가 필요하지만 현재의 시안 1과 2는 적절하지 않다는 답변이 40.64%로 나타났다. 또 53%는 기존 로고를 그대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학교 ... ...
[초대석]세계수학자대회 유치 주역 박형주 조직위원장
동아일보
l
2014.01.27
물리학과 졸업 1995년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수학 박사 2004∼2009년 고등과학원 전자계산
학부
교수 2009년∼ 포스텍 수학과 교수 연구분야 계산대수기하학, 신호처리 및 정보처리 인터뷰=장경애 동아사이언스 기자 kajang@donga.com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우주의 신비,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22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주는 여전히 미지의 영역이나 다름없다. 서울대 물리·천문
학부
임명신 교수는 24일 오후 6시 30분 대전 교육과학연구원에서 ‘천문학과 노벨상’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임 교수는 천문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받은 연구 성과들과 우주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 ...
‘혹성탈출’ 속 침팬지, 실제로 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1
찰스 멘젤 박사와 스털링대 심리
학부
사라-제인 빅 박사, 영국 체스터대 심리
학부
안나 일로나 로버츠 박사 공동연구팀은 훈련을 받은 두 마리의 침팬지 ‘팬지’와 ‘셔먼’의 행동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내용을 파악하고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 ...
전국 모든 대학 정원… 올해 입시부터 감축
동아일보
l
2014.01.21
- [화보] 개그우먼들, 점점 과감해지는 시상식 패션 [관련 뉴스] - 수도권 우량大
학부
정원 줄이면 대학원 인원 확대 - 대학 정원 16만 명 줄인다…“부실 대학 퇴출” - 2015년부터 대학 5등급 나눠 정원 감축 - 대학총장의 의상단속에 반발한 여대생들의 누드시위 - 수능폐지하고 입시제도 단순화를 ... ...
KAIST 최병규 교수 저서 UC버클리대 교재로 채택
동아사이언스
l
2014.01.19
우리나라 대학 교수가 쓴 저서가 미국 대학 교재로 채택됐다. 국내 산업공학 서적이 미국 대학의 정규 강의 교재로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진행하면서 기록한 강의 노트를 기반으로 지난해 10월 출간됐다. 현재 KAIST
학부
와 대학원 과정 정규 교재로 채택해 사용되고 있다. ... ...
상어 게놈 분석하니 면역계 진화비밀 풀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가로질러 나오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스위스 로잔대 식물분자생물
학부
주프 페르메이르 박사후연구원팀은 애기장대의 곁뿌리를 발생시키는 뿌리 속 주요 기관을 둘러싼 세포층인 ‘내피’의 화학적·생물학적 변화를 분석해 이에 대한 해답을 내놨다. 연구팀은 우선 내피를 ... ...
줄기세포 분화촉진법 서울대 연구팀 첫 개발
동아일보
l
2014.01.08
학회 출장 중 심장마비로 유명을 달리한 ‘천재 나노과학자’ 서갑양 서울대 기계항공공
학부
교수(당시 41세)의 마지막 프로젝트여서 더욱 눈길을 끌었다. 이번 연구에서 서 교수는 인간의 피부조직을 닮은 나노지지체 개발을 담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9일 세계적인 ... ...
줄기세포 키우는 나노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특히 이번 연구에는 지난해 7월 4일 갑작스레 세상을 뜬 고 서갑양 서울대 기계항공공
학부
교수도 참여했다. 줄기세포가 뼈를 만드는 세포로 자라는 환경. 200nm로 좁은 틈새에서 자라난다. - Scientific Reports 제공 연구팀은 줄기세포가 우리 몸 속에서 자라는 환경과 실험실에서 배양되는 환경에 큰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