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8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밸런테인데이’를 위한 과학적 팁 3
2015.02.13
피질 중 붉은색 부분이 훼손된 48세 남성은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
됐다. - 시카고대 제공 ● 장거리 연애나 근거리 연애나 만족도는 비슷 홍콩대와 미국 코넬대 공동연구팀은 ‘장거리 연애는 깨지기 쉽다’는 통념을 뒤집는 연구 결과를 2013년 7월 ‘커뮤니케이션 저널(Journal of ... ...
우리 가족이 복부비만인 이유 "답 나왔다"
2015.02.12
되는 체질과 하체 비만이 되는 체질을 만드는 유전자 49개를
확인
했다. 이 중 33개가 새로
확인
된 유전자다. 최 교수는 “같은 비만이라 하더라도 복부 비만이 하체 비만에 비해 당뇨나 고혈압 가능성이 더 높다”며 “갖고 태어난 유전자에 따라 위험한 비만과 덜 위험한 비만이 갈릴 수 있다는 ... ...
“이거 하나면 간암 전이 막는다”
2015.02.11
복제돼 나온 암 세포가 혈액 속에서 6주 넘게 살아남아서 다른 장기로 전이된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또 연구진이 TM4SF5를 억제하도록 개발한 약물을 주사했더니 CD44와의 결합이 방해를 받으면서 암 전이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간암 전이에 핵심적인 단백질이 어떻게 ... ...
[Health&Beauty]침실조명 밝으면 과체중·비만 확률 더 높아
동아일보
l
2015.02.11
수 있는 정도 등 4가지로 나누고 참가 여성들의 침실 조명이 어느 수준에 해당하는 지를
확인
했다. 그런 뒤 참가자들의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등을 쟀다. 측정 결과 침실 조명이 밝을수록 대체로 체질량지수가 높고, 허리둘레도 굵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침실의 밝은 조명이 밤낮의 대사를 ... ...
“설맞아 화성과 금성이 만난다”
과학동아천문대
l
2015.02.10
민족 최대 명절 설이 한 주 앞으로 다가왔다. 맛있는 음식과 오랜만에 만나는 가족들은 설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 기억에 남는 설을 보내고 싶다면 ... 자세한 사항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http://star.dongascience.com/notice/view/notice/105)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문의: 02-3148-0704,0722, june@donga.com ... ...
다이어트? 포도씨까지 싹싹 갈아드세요~
2015.02.10
변화를 일으켜 혈중 지질 농도를 낮추고 고지혈증과 비만 등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
한 만큼 세계적으로 그냥 버려지는 와인 부산물을 부가 가치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농업및식품화학지’ 최신호에 실렸다. ... ...
[신나는 공부]인성? 넓고도 좁다!
동아일보
l
2015.02.10
할 것인지를 물음으로써 구체적인 답변을 유도하는 한편 지원자의 가치관과 비전을
확인
한다. 서울시립대가 공개한 2015학년도 학생부 종합전형 인성평가 공통문항이 그 사례. ‘조별 수행평가를 하면서 역할을 열심히 하지 않는 친구가 있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물었다. 2015학년도 ... ...
지구 내핵에 또 다른 내핵 있다
2015.02.10
내핵의 결정은 남북 방향을 향하고 하부 내핵은 결정이 동서 방향을 향한다는 사실도
확인
했다. 송 교수는 “이방성은 물질의 구조와 성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내핵의 구조와 조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준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내핵이 ... ...
싹둑싹둑 ‘유전자 가위’ 맘놓고 쓸 수 있게 됐다
2015.02.10
유전자 가위를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김 단장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안전성을
확인
할 수 있어 앞으로 유전자 치료제, 세포치료제 개발에 큰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처 메소드는 올해 1월 이 기술을 ‘2015년 기대되는 중요실험기법’ 8개 중 하나로 소개한 바 있다. ... ...
앗! 이렇게 작을 수가, 1nm급 반도체 개발
2015.02.09
2종류를 배열한 연구팀은 둘 중 한 가지만 선택해 전자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
했다. 반도체로 쓰기 위해서는 전자의 흐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안 교수는 “1nm 이하 집적도를 가진 초고집적 반도체 소자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이번에 실험으로 입증했다”며 “기존 반도체와 ... ...
이전
1638
1639
1640
1641
1642
1643
1644
1645
16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