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월드컵 - 축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변화가 요구되고 또 30초마다 15-20m를 최대로 빨리 달릴 수 있는 무산소 능력을 키우도록
결론
내리고 있다.많이 뛴다고 골을 넣고, 그래서 경기에 이기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얼마만큼 '경제적인 경기'를 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축구는 긴 구간을 달려야 하는 마라톤 시합이 아닌, 순간 ... ...
확률은 도박에서 왔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그래도 현실적으로 승률이 $\frac{1}{2}$보다 큰 게임(경마, 도박)은 없다.교훈같은
결론
이지만 도박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통계의 역사우리나라는 통일신라 전부터 정책에 숫자가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서양에서는 로마시대 이후 적극적으로 통계적 방법을 사용했다. 영어로는 나라를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두 배 증가에 대한 기후모델의 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우리 생활에 대한 영향 평가는
결론
지어진 상태도 아니며 결과 자체를 의심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절대적인 것도 아니다. ${CO}_{2}$가 단지 2배의 농도에서 증가를 그칠 아무런 이유가 없으며 영향 평가에 사용된 기후모델은 수십년 후의 ... ...
(2) 면역 호르몬 사이토킨, 암퇴치의 첨병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최근 조혈세포에 리트로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를 표현시키는 시도가 좋은
결론
을 얻고 있다.사이토킨 공학사이토킨 및 그 수용체의 성격을 이해하게 되면 암세포내에 접근하여 파괴력을 나타내는 새로운 무기를 제조해낼 수 있다. 이를 '사이토킨 공학(엔지니어링) 이라 한다 ... ...
우주 팽창·수축의 열쇠, 암흑물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정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현재 보이는 가스와 먼지 구름이 1백배이상 존재해야 한다는
결론
에 이르른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이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양의 1백배 존재한다는 이야기다.이것이 바로 1980년대 등장해 표준이론 안에 편입된 인플레이션 이론의 지침이다. ... ...
3. 컴퓨터 모의 실험- 세기적 '우주쇼' 대예측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애리조나의 운석공은 돌 성분이 많이 든 운석이 아니라 거의 철로 된 운석일 것이라는
결론
이다.퉁구스카 현상도 종래에는 지상에 운석공이 없고 삼림들이 방사 방향으로 쓰러져 있기 때문에, 내부가 단단치 않은 혜성과 같은 물체가 공중 폭발하여 이때 생기는 강력한 바람에 의하여 삼림들이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지평선에 가까이 있는 대상이 크게 보이는 현상들은 놀랍고 흥미로운 것이다. 간단히
결론
부터 이야기하면 대기의 영향에 의한 우리 눈의 착각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견우와 직녀가 가까워지는 이유기원전 고대중국 그리스와 같은 초기 문명 사회에서 하늘을 관측하던 사람들은 하늘을 별들로 ... ...
태양계 밖 외계 행성 첫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형성될 때 생성되기도 하지만 PSR B1257+12처럼 별들의 진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는
결론
을 내렸다.태양계 밖 행성은 지구밖 문명체의 존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생명체 또는 생명체가 진화한 문명체는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 아니라 그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에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 ... ...
물리 - 극지방, 왜 적도보다 몸무게 더 나가나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느리게 떨어지기 때문에 우리의 직관은 무거울수록 빨리 떨어질 것이라는 무의식적인
결론
을 내리게 된다. 고대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도 무거운 물체일수록 빨리 떨어진다고 주장했다.그러나 갈릴레이는 무게에 관계없이 같은 속도로 낙하한다는 자기 학설의 정당함을 설명하기 위해 그의 ... ...
제10행성설, 카이파벨트의 실체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까지는 해왕성 정도 크기를 가지는 10행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고 할 수 있다.그렇다면 명왕성 너머에 태양계 가족은 아무 것도 없는 것일까. 큰 행성은 아니더라도 작은 소천체는 다수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1950년경 미국 천문학자 G.P. 카이파는 명왕성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