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말
어휘
말
글자
보캐뷸러리
워드
word
d라이브러리
"
단어
"(으)로 총 1,942건 검색되었습니다.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어떤 일이 있었고 언제 약속을 했는지 가물거린다면 머리속에서 기억되는 단 한두마디의
단어
만으로도 원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오거나이저가 제공하는 전화번호부는 회사순, 이름순 등으로 정렬이 가능하며 같은자료를 입력해 놓고 먼저 입력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알맞는 문장 구조를 배정받는다. 문장구조에 관한 언어의 규칙으로는
단어
의 순서,
단어
의 성과 격 등이 있다. 한편 활성화된 개념들이 경쟁할 때 대개는 가장 활성화가 많이 된 개념이 우세한 위치를 점한다.어휘항목망 단계 : 원하는 개념을 직접 말로 옮기기 위해서는 포엽망 단계에서 넘어온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든 간에 단일안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라는
단어
에 반감을 품을 사람도 있겠지만, 한글코드가 한글다워야 한다는 대원칙에는 동의할 것이다. 그러나 국제적인 코드 제정에는 각 국가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어쩌면 한글다운 코드 제정이 힘들지도 모른다는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나눴다. 이 두 개념을 지능(intelligentia)이라고 키케로가 처음 번역하면서 지능이라는
단어
는 사용되기 시작했다.심리학자 스턴버그는 사람들이 지능을 어떻게 정의하는지를 연구했다. 그는 심리학을 배우지 않은 사람과 심리학을 공부한 사람을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심리학을 배우지 않은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결책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한명윤양(한성과학고 1년)은 “첫번째 암호는 쉽게 풀었어요” 라면서 “먼저 같은
단어
와 많이 사용된 알파벳을 나열해 실마리를 찾았다”고 말했다. 한양은 다음에 또 참가할 수 있다면 다시 한번 와 보고 싶다고.암호풀이 우승은 대전과학고와 강원과학고가 차지했다. 독자들도 과학캠프에서 ... ...
1. '정보의 바다'에는 암초가 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많지 않을 것이다. AKA(as known as) CO(computer operater) U(you)등 일반인들이 도저히 알 수 없는
단어
들이 사용되는 것이 인터넷이다. 가뜩이나 접근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장벽이 아닐 수 없다.인터넷의 미래, 장미빛만은 아니다인터넷이 점점 중요한 매체로 부상하면서 미국 정부의 인터넷 개입설이 자주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관련한 저질의 글들이 다시 게시물로 올라와 있는 상황이다.'신모라'와 '김완섭'이라는
단어
는 일단 높은 조회수를 보장해 준다. 게시판에 글을 올리고 자신의 글이 높은 조회수를 자랑하는 즐거움을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 이것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흥행을 걱정하는 ... ...
큰틀 대표 이한순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있다는 것이다."정보화란 말을 들어온지도 꽤 오래 됐습니다만, 과연 우리는 그 화려한
단어
에 어울리는 준비를 해왔는지 되묻고싶군요. 예를 들어 문자 위주의 매체인 신문이 과연 디지털 시대에 걸맞게 제 모습을 갖추기 위해 준비를 해놓은 게 있습니까. 아마 영상 매체도 미리 준비 작업을 하지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됐음을 만천하에 과시했다. 웹스터 영어사전에도 안나오는 번지(bungee, 혹은 bungy)란
단어
는 이곳 원주민들의 발목을 묶었던 칡의 이름.원주민들의 이 통과 의례는 80년대 중반 뉴질랜드에서 현대 스포츠의 모습으로 탈바꿈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사실은 이보다 앞선 79년 영국 브리스톨에 있는 ... ...
Ⅲ 한국형 감성공학, 세계로 나간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위한 경쟁이 벌어지던 시절이다. 감성이란 애매모호한
단어
와 공학이란 구체성을 띤
단어
가 하나로 묶인 감성공학은 그 용어 자체만으로 유명세를 탈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당시 연구자들은 나가마치 교수의 연구기법과 '인간 감각 계측 연구'의 내용을 참고해 이들과 유사한 감성공학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