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은 나노선을 활용해 농식품 내 잔류농약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해 재료화학
분야
국제학술지 ‘ACS 응용물질 및 계면(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3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개발한 검출 기구는 2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굵기의 은 나노선 구조체가 포함된 종이 시트로,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머지않은 미래에 의료진은 초인적인 시각과 촉각을 얻게 될 겁니다. 로봇 덕분이죠.” 로봇이 수술에 사용되는 방식은 두 가지다. 의사의 손을 대신 ... 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분야
”라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술 로봇
분야
는 향후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대부분 전문가들의 관점이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전혀 다른 수학
분야
처럼 보이는 소위 모듈러성정리에 연결됐듯이, 호킹이 던진 화두는 실험적 검증이 요원한 초끈이론을 검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했다. 전자기학과 역학의 충돌이 상대론의 출현으로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분야
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융복합 인재만이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며 “한
분야
의 전문가이면서 동시에 다른 전공과 소통이 가능한 융합인재가 되고 싶은 학생들이 DGIST에 많이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재학생 인터뷰] 꿈은 달라도 출발은 전기·정보공학부에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도움을 받았다. 그는 “컴퓨터공학부 연구실을 견학하면서 좁고 깊게 공부하 는
분야
라 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뇌-컴퓨터 연결 기술(BCI·Brain Computer Interface)에 관심이 많았던 김 씨는 캠프 이후 컴퓨터공학과 전자공학 등을 폭넓게 배울 수 있는 전기·정보공학부로 진학을 결심했다. 현재 김 ... ...
Part 3.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 스티븐 호킹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걸렸을 당시 5년밖에 살지 못할 거라고 진단받았던 호킹은 이후 약 50년 동안 천체물리학
분야
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겼습니다. 물리뿐 아니라 수학에도 뛰어나서 무려 30년 동안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로 재직했지요. 루카스 수학 석좌 교수★영국 케임브리지대 수학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조코비치보다 젊기 때문에 체력에서 유리했다.”1월 말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2018 호주오픈 테니스 대회. 정현은 16강전에서 세계 랭킹 1 ... 관심이 적은 편”이라며 “테니스 등 스포츠를 과학과 결합해 융합적 분석을 한다면 그
분야
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
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들어간 상태다. 왕 소장은 CEPC 프로젝트를 이끄는 수장이다. 그는 가속기와 입자물리
분야
전문가로, ‘유령입자’로 불리는 중성미자 3종류가 서로 자유롭게 형태를 바꾸며 ‘변신’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세 가지 증거 중에서 마지막 한 가지를 2012년 세계 최초로 발견한 ‘다야베이(Daya Bay)’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비해, 페로브스카이트는 연구 시작 5년 만에 3%에서 20%까지 효율을 높였다. 하지만 LED
분야
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의 뛰어난 발광 능력에도 불구하고 상온에서 전자와 정공의 인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이유로 그간 냉대를 받아왔다. μm에서 nm로 입자 크기 줄여 발광 성공2013년까지 LED 디스플레이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