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은"(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페르마는 정말 그 문제를 증명했을까? 후대 수학자들의 풀이를 토대로 페르마의 진실에 접근해봤다.지난 3월 15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의 앤드루 와일즈 교수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수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아벨상 수상자로 선정됐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오늘 소개할 게임 ‘지오메트리 대시’의 캐릭터는 놀랍게도 사람도, 동물도, 그렇다고 식물도 아닌 우스꽝스럽게 통통 튀는 박스예요. 레벨에 따라, 또는 구간에 따라 박스 모양이 다양하지요. 보물이 들어 있는 함 같기도 하고, 게임판에서 신나게 뒹구는 주사위나, 맞추기 어려운 큐브 같기도 해 ... ...
- [과학뉴스]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능력이 새에게서 관찰된 적은 있지만 물고기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영국 옥스퍼드대와 호주 퀸즐랜드대 공동연구팀은 공중에 있는 먹이를 잡기 위해 입으로 물총을 쏘는 물총고기(Toxotes chatareus )의 수조 위에 모니터를 설치하고 특정 ... ...
- [과학뉴스] 화성 암석, 복잡한 탄생 비화 드러나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화성의 암석 형성 과정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복잡하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나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연구팀은 화성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사진)’가 발견한 광물을 분석한 결과, 과거 화성에서 이산화규소(SiO2)가 풍부한 화산활동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큐리오시티는 지난해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는 유전병의 종류는 수십 가지가 넘는다. 마땅한 치료법이 없고, 유전자를 물려준 어머니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현재까지 이 유전병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건강한 이에게서 미토콘드리아를 기증 받는 방법뿐이다. 일명 ‘세 부모 아이’가 되는 것이다. 지난해 2월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데이터를 정리해 주었다. 뭐가 어떻게 된 건지 로봇의 무릎관절이 한 번 나가 있었던 적은 있었지만 (한진영 교수에게 말하지 않고 몰래 고쳤다) 역시 21세기는 위대했다. 앞으로도 AI를 활용해야겠다고 결심하며 도출한 데이터를 확인하던 강선일 교수는 고개를 갸웃거렸다. 한 학생의 점수값이 아예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돌연변이가 돌아왔다! 최근 개봉한 ‘엑스맨: 아포칼립스’는 엑스맨 시리즈의 여덟 번째 영화로 1983년을 배경으로 한다. 한때 친구였으나 의견 대립으로 서로 다른 길을 걷는 프로페서X와 매그니토가 각자 돌연변이 집단을 이끌고, 여기에 전설 속의 돌연변이 아포칼립스까지 가세해 싸움을 벌이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운석신고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돌 주변에 검은 탄 자국, 이거 혹시 운석 아냐?”2014년 3월, 진주에 떨어진 운석으로 사람들의 운석에 대한 관심이 무척 높아졌어요. 친구들도 ‘혹시 내가 주운 돌이 운석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을 거예요. 그래서 기자단 친구들이 출동했어요! 직접 주운 돌을 운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를 발표해 의학계에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그 근거로 허술한 실험 설계와 지나치게 적은 실험 대상을 꼬집었지요. 이 논문은 지금까지 3600번 인용될 정도로 유명합니다. 재현성 문제의 원인은 여러 가지입니다. 수십 번 실험한 뒤 한 번 성공한 것을 논문으로 썼을 수도 있고,의미 있는 결과를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체육관이나 전시장 같은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돔은 전통적인 건축물보다 적은 재료를 쓰고도 훨씬 더 큰 공간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기도 합니다. 돔은 반구 모양인데, 구는 부피가 일정할 때 겉넓이가 가장 작은 입체 도형이기 때문입니다.그럼 ‘지오데식 돔’은 무엇일까요?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