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주정거장이 추락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발사하면 지구에서 발사할 때보다 힘이 덜 들거든요. 그럼 연료도 적게 쓰고 로켓의 크기와 무게도 줄일 수 있지요. 또 우주정거장은 먼 우주로 떠나는 여행자들이 잠시 쉬어갈 수 있는 휴게소가 될 수도 있답니다. 최영준 박사는 “앞으로 우주정거장의 규모가 커지고 우주여행이 활발해지면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대기 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측했다. 지구가 달에 비해 대기가 짙은 이유는 중력이 크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정육면체 지구에서도 중력에 따라 대기 농도가 달라진다. 실제 지구의 대기권은 지표면으로부터 약 100km다. 모든 지점에서 중력이 비슷하기 때문에 대기권의 모양도 지구와 거의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로탁세인 메모리 칩을 이용하면 1cm2 면적에 1000억 비트를 저장할 수 있어, 동일한 크기의 반도체 칩과 비교해 볼 때 100배 이상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도르래 원리 적용해 전지 성능 개선로탁세인은 분자기계 연구의 터닝포인트가 됐습니다. 그 전에는 학문적으로만 의미가 있던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태너 척도는 1차 성징과 2차 성징을 기반으로 육체의 발달을 가늠해, 유방, 성기, 음모의 크기나 발달 정도를 기준으로 삼는다. 1단계가 아이, 5단계가 발달을 마친 성인이며, 2단계부터 초기 사춘기에 해당한다. 가령, 음모의 경우 10세 이하에서 음모가 없는 시절이 1단계, 음경과 음낭의 기저부에 ...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특정 질환으로 입원하는 환자 수가 증가하는 걸 보고 짐작만 할 뿐이다. 황교수는 “같은 크기의 먼지라도 어떤 성분인지에 따라 체내에서 일으키는 반응이나 몸 밖으로 배출되는 비율이 다르다”며 “미세먼지 성분별로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시간은 같다. 이는 플라스틱 자의 회전 속력에 관계없이 A와 B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일정해서 물체의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플라스틱 자의 회전 속력이 클수록 B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는 증가한다. 뉴턴의 사고 실험과 인공위성그렇다면 B의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코스프레 어려서부터 수학에 사로잡힌 우리는 눈앞에 숫자 2개가 있으면 본능적으로 크기를 비교하거나 사칙연산을 하고 싶은 욕망이 샘솟습니다. 이 방송이 끝나면 여러분은 집합을 봐도 비슷한 욕망이 생길 겁니다. 집합도 수와 마찬가지로 사칙연산 비스름한 걸 할 수 있으니까요. 다만 집합은 ...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화성 탐사를 위해 개발한 로켓이에요. 기존에 사용했던 로켓 ‘팰컨9’ 3개를 붙인 크기로, 높이 70m, 무게 1400t의 엄청난 덩치를 자랑하지요. 팰컨 헤비가 주목받는 이유는 크고 무거울수록 우주로 발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에요. 중력을 뚫고 우주로 나아가는 데 힘이 많이 들고 연료도 많이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저어주면 잠시 후 몽글몽글한 덩어리들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덩어리 수가 늘어나면서 크기도 커집니다. 그러면 덩어리들이 가라앉기 시작하지요. 덩어리가 잘 가라앉을 때까지 뒀다가 깨끗한 거름보자기나 거름망에 부어 덩어리와 액체(유청)를 분리합니다. 거름망 위에 돌 같은 무거운 물체를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뤄진 군(리 군)에 대응하는 ‘단순가군’을 하나의 빌딩으로 봤을때 단위블록의 크기와 모양이 어떤지를 특정 공식(카즈단-루스즈티그 다항식)으로 알 수 있다는 겁니다. 많은 수학자가 이 추측이 옳다고 믿어 왔는데, 윌리엄슨 교수가 틀린 예를 찾은 것이지요. 수학자를 환호하게 한 건 ‘카즈단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