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넓이
나비
가로
면적
더위
폭염
d라이브러리
"
폭
"(으)로 총 1,65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있다. 이곳에서 '방카'라는 작은 배를 타고 강을 거슬러 1시간쯤가면 높이 1백m의 시원한
폭
포가 있다. 그 주변에 열대식물이 가득차 있는 것이다.북위 4도에서 21도에 걸쳐 있는 필리핀은 열대권이어서 전국을 통틀어 연 평균기온이 섭씨 27도이고 기후에 변화를주는 요인은 주로 강우이다. 강우 ... ...
어떻게 대응하나? 마이크로 전자기술의 파고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될 수도 있을 것이다.주지하다시피 최근의 ME혁신은 그 혁신속도의 빠름과 응용범위의
폭
넓음으로 인해 ME혁명 또는 제3차 산업혁명으로까지 불리워지고 있다.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경제개발의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로서는 이러한 혁명적인 흐름에 적극적으로 도전하여 참여하지 않으면 선진국과의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도 모두 엿들을 수 있으며 주파수도 5백∼3천 메가헬츠까지의 넓은
폭
으로 관측할 수 있다. 수신한 전파는 모두 컴퓨터로 처리 판독하게 된다. 처리 능력은 '오즈마' 계획의 20만배이고 정밀도는 4백만배에 달한다. 최근에는 미국 하버드대학의 '호로위츠'(Horowitz)가 직경 약 25. ... ...
포유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호랑이는 바탕색이 남방계의 적갈색에 비하여 황갈색이고, 검은 칡무늬는 하나하나가
폭
이 넓고 따라서 그 수가 적다. 복부의 백색부분도 넓고 털도 길며 조밀하다. 일설에는 다 자란 한국 호랑이는 꼬리끝의 흰부분에 '大' '王' '天'자가 뚜렷하게 생긴다고도 하고, 또 이마의 검은 줄무늬가 '王' '大 ... ...
충북청원군 두루봉 유적을 통해본 한반도의 구석기 문화와 환경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참나무 소나무 단풍나무가 모두 늙은 나무의 가지였고, 이는 땔감으로 이용됐으며 나이테
폭
으로 보아 강우량의 차이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짐승뼈를 이용, 창을 만들기도마지막으로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인골·동식물상과 함께 구석기유물의 핵심인 각종의 석기들이다. 짐승을 죽이고 가죽을 ... ...
도버해협 해저터널 2백년의 꿈이 영근다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수도 바빌론에서 유프라테스강의 하저에 궁전과 신전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약 1㎞터널(
폭
3.6m, 높이4.5m)을 건설한 것으로 하천의 흐름을 바꿔서 건설한 대역사였다. 터널건설이 성행한 시대는 로마제국시대였다. 이 때 건설된 터널 중 일부는 현재 사용되는 것도 있다. 기술적으로는 끌과 해머가 주로 ... ...
최첨단 화상정보처리시스템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문서 기록 시간은 1장당 3초로 누구나 쉽고 빠르게 자동 입력시킬수 있으며 입력원고의
폭
이 넓어 신문지 절반 크기의 원고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검색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문서를 수초만에 찾아 17인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어를 통해 한눈에 볼 수 있으며 화면의 확대 회전도 가능해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냉기를 흡수하지 못하고 얼어붙은 댐 위쪽 내수면에서도 냉기를 반사하는 복사냉각의
폭
이 커지기 때문에 심하게 추워진다"는 것이다.복사냉각현상(Albedo)이란 냉기가 눈이나 얼음에 부딛쳤다가 반사될 때 눈이나 얼음의 냉기가 더 증가되어 반사되는 것으로 복사열과 반대되는 의미다.강원대 ... ...
과학기술발전 장기계획을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말입니다. 학자들이 자신의 분야만을 놓고 보면 자꾸 비관적으로만 생각될지 모르지만
폭
넓게 보면 반드시 그렇지 만은 아닌 것같아요. 얼마전에 우리의 자동차를 대량으로 미국에 수출하게 됐다는 소식을 듣지 않았읍니까? 자꾸 고개만 갸우뚱거리고 있으면 아무것도 이루지 못 할 것입니다 ... ...
강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하천의 대부분은 상류부를 제외하면 평행상태에 가까운 하천종단면을 갖고 있다. 따라서
폭
포나 급류가 적고 유유히 흐르는 것이 특색이다. 우리나라의 하천이 노년기 평형하천으로 된 것은 중생대 백아기말(약6천 5백만년전)부터 심한 지각운동을 받지 않고 안정되어 있었고 그동안 외부의 영력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