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김선아 국립광주과학관장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미래에 필요한 창의융합적 인재에게 코딩은 기초 소양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학교
에서 코딩을 가르쳐야 하지만 아직 환경이 그다지 좋지는 않다. 김 관장은 놀이를 하듯이 기본 원리를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주말을 활용해 끊이지 않고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생각이다 ... ...
[인터뷰] UNIST 입학학생처장 곽상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평소에 UNIST 관련소식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 입학학생처장은
학교
에 대한 관심은 서류뿐만 아니라 면접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비법이라고도 덧 붙였다. 예를 들어 면접위원의 질문에 UNIST의 최근 연구동향을 들어 설명하거나, ‘인류의 삶에 공헌하는 세계적 과학기술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
학교
입학부장 김민주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무언가를 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학생”이라며 “그런 학생이라면 세종과학예술영재
학교
에서 하고 싶은 것들을 모두 해보고 졸업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 ...
교내 과학경시대회 잘 준비하는 법 (신과람 교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 편집자주 - 이공계 수험생의 경우 고등
학교
에서 자신의 진로를 위해 어떤 활동을 했는지도 중요한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 ‘신과람(신나는 과학을 만 ... 하기 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한다는 생각으로 즐겁게 참가한다면 더욱 활기차고 즐거운
학교
생활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겁니다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그런데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탈 수 있는 걸까요? 최초의 휴머노이드는 일본 와세다대
학교
가토 이치로 교수팀이 1973년에 만든 ‘와봇 1호’예요, 두 발로 걸을 수는 있었지만 몇 걸음이 고작이었지요. 이후 30년이 지나서야 두 다리로 자연스럽게 걷는 로봇인 ‘아시모’가 만들어졌답니다.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종이나 된다. 농촌진흥청 차세대바이오그린21 동물분자유전육종사업단을 이끌고 있는 이
학교
전북대 동물생명공학과 교수는 “바이러스는 숙주를 감염시켜야만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을 만들면 이 백신을 속일 수 있도록 다시 진화한다”며 “백신을 빨리 개발하면 바이러스를 빨리 ... ...
[인터뷰]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는 ‘인성’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대비한 모의 면접 진행, 체계적인 학생부 관리 등 교사의 학생에 대한 관심과 열정은 영재
학교
중 최고라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올해 시행되는 2019학년도 입학전형은 일정이나 형식에 크게 변화가 없지만 3단계 과학영재캠프에 약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사교육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가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진로역량검사)를 받아보고 스스로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도 있다. 이런 검사는
학교
에서 실시하기도 하며 지자체나 교육포털 등을 통해 무료로 받아볼 수도 있다. 신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지나온 생활을 돌이켜보고, 앞으로 1년, 또는 그 이상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마련한다면 올해는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이 사람을 빼놓고는 눈결정에 대해 논할 수 없다!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눈결정을 연구하는 리브레히트 교수와 이메일로 이야기를 나눠봤다. Q. 눈결정과 사랑에 빠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처음에는 결정이 어떻게 자라나는지 관심이 생겨 그와 관련된 연구를 시작했어요. 얼마 지나지 않아 눈 ... ...
[수학공작실] 정다면체 장식공예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그래서 지금도 이 다섯 정다면체를 ‘플라톤 정다면체’라고 부른다. 우리는 중
학교
1학년 과정에서 이 다섯 가지 정다면체를 배운다. 간단한 모양인 정사면체와 정육면체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지만, 정팔면체나 정이십면체는 쉽게 접하기 힘들고 복잡하게 느껴진다. 예를 들어 정육면체는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