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사
바다
해병대원
바다위
파두
해운
뉴스
"
해상
"(으)로 총 1,749건 검색되었습니다.
혈관 내부 찍는 고화질 내시경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12
대동맥 7㎝길이의 혈관을 5.8초만에 초당 350장의 속도로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사진
해상
도 역시 기존 혈관내시경의 200㎛ 보다 선명한 10~35㎛(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수준으로 대부분의 질환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다. 오 교수는 “사람의 혈관과 비슷한 동물의 혈관 내부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11
인공위성 '월드뷰-2'가 포착한 고래. 흰 격자가 고래다. - 플로스원 제공 연구진은
해상
도 50cm급인 디지털글로브의 상업위성 ‘월드뷰-2(WorldView-2)’로 아르헨티나 해안 113km2 지역에 서식하는 남방긴수염고래 91마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프렛웰 박사는 “인공위성 촬영 방식은 90% 정확도를 ... ...
헉, 장보고 기지에 옆에 이게 뭐지?
과학동아
l
2014.02.24
2월호, 3월호 참조> 아리랑 3호는 2012년 5월 18일 발사됐으며 685km 상공에서 70cm급의 고
해상
도 전자광학 카메라 로 지상 곳곳을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 ...
“눈폭탄 떨어진 것 맞네“…인공위성으로 본 강원도 폭설현장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수 있는 고
해상
도 인공위성이다. 2012년 발사한 아리랑 3호는 70cm 단위로 구분하는 고
해상
도 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아리랑 2호로 촬영한 ‘속초 종합경기장’ 위성사진. 눈이 내리지 않은 2012년 5월 8일(왼쪽) 사진과 2014년 2월 12일 촬영 한 폭설후 사진(오른쪽)이 극명한 대비를 보인다. - ... ...
생물학의 역사를 바꾼 X선 분광기술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학자들의 수는 제한되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X선 분광기술의
해상
도가 크게 향상됐다. - 네이처 제공 사이언스 제공 육각형 모양의 장치 주변으로 연결된 3개의 관이 다양한 색깔로 표시돼 있다. 음파들이 관을 따라 중앙 장치에 모였다가 인접한 관으로 다시 ... ...
화성 알고보니 생물의 천국?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활용해 원자크기 수준인 4.9Å(옹스트롬·1Å는 100억 분의 1m)의 아주 정밀한
해상
도로 미토리보솜의 3D 이미지를 얻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을 통해 초저온에서 움직임을 제어한 돼지 간의 미토리보솜을 관찰했다. 그 결과 결정을 만들거나 상이 왜곡된다는 어려움 없이 ... ...
나로우주센터 한국형발사체 개발 현장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4.01.26
다른 특징은 외국 연소시험설비와 달리 소음·공해 저감 장치를 별도로 마련했다는 점.
해상
국립공원 내에 건설하는 만큼 추가비용이 들더라도 환경문제를 고려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설비 앞쪽으로 기다란 배관을 연결했고, 그 끝에 정화된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굴뚝을 설치했다. 한 팀장은 ... ...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현미경으로는 수백 nm 크기를 관찰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이 장치의
해상
도는 우주에서 지구인의 손바닥을 식별하는 정도”라며 “이 나노칩은 기존 현미경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싼 영상장비를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광재료 분야 ... ...
‘꿈의 신소재’ 상용화 코 앞으로 다가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0
재료공학과 제이미 워너 박사팀은 공동으로 그래핀 분자의 운동 상태를 계산하거나 고
해상
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이물질이 없는 그래핀 모서리를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이건도 교수는 “앞으로 깨끗한 모서리에서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 더 자세히 규명하면 그래핀 응용이 가속화 될 ... ...
사이언스지 과학정보 창고, 무료로 이용
동아사이언스
l
2014.01.19
사이트(ScienceClassic.org)를 접속하면 서지인용, 초록, 레퍼런스 등을 포함한 정보 전문을 고
해상
도 PDF 버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르시아 맥너트 사이언스 지 편집장은 “한국의 활기찬 연구 커뮤니티를 지원하게 돼서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과학기술 분야에서 더욱 중요한 진보를 일궈내기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