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의견 사이로 “드디어 노벨상과 관련해 논란이라도 일으키는 인물이 나타나 반갑다”는
반응
도 있었다. 이제야 국제 무대에 등장할 만한 자타 공인의 실력파 학자가 나오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톰슨-로이터의 예측에서 한국인 또는 한국계 과학자 두 명이 노벨상 후보로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결과는 놀라웠다. 개인별로 유전자의 반복횟수가 제각각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의
반응
은 부정적이었다. “한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냈죠. 미심쩍었는지 이것저것 더 실험해 보라고 시키더군요. 그 실험을 다 하면 2년은 걸릴 것 같아 ‘너희에게 안 낸다’고 대답했죠.” 그 학술지는 논문을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얇은 옷을 입혀야 한다”고 권고했다.열이 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
반응
이다. 만성질환이나 선천성 장애가 없고 평소 건강한 아이에서는 직장체온이 39℃ 미만이라면 대개 치료가 필요 없다. 조금 더 큰 아이들은 38.3℃ 이하의 미열이면 특별한 처치를 하지 않고 기다려도 된다.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보겠다’며 결의에 찬 표정을 짓더라고요. 대부분의 관람객이 전시를 보고 나서 비슷한
반응
을 보이기 때문에 별 생각 없이 듣고 흘렸어요. 그런데 한 2주쯤 지났을까요? 그 친구가 정말로 옷걸이로 안경을 만들어 갖고 왔더라고요. 전시를 기획한 직원들 모두 그날 무척 뿌듯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남의 얼굴 표정과 신체 자세에 작가가 지각적·정서적·감정이입 측면에서 어떻게
반응
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책은 빈 분리파의 인간의 시각과 감정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후반부에서는 창의성의 근원에 ‘무의식’이 있음을 지적한다. 실제로 의사 결정 과정에서 무의식이 큰 역할을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뇌세포의 미세소관을 양자 중첩이 일어나는 곳으로 지목했다. 여기에 대한 주류학계의
반응
은 냉랭하다. 양자 중첩이 인간의 의식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어떤 실험적 증거도 아직 없기 때문이다. 생명체 내에서 결맞음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더구나 양자 중력까지 등장하는 그의 이론은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끈기 있는 자세가 돋보였다. MacTosh팀의 함재훈 학생은 “2차 전지의 확대막 재질이나 화학
반응
같은 정보는 기업 기밀이라 알기 어려웠다”며 “전지를 직접 분해해 가면서 원리와 구조를 배워갔다”고 밝혔다. JUST팀은 7개월 동안 매일 시멘트를 4층 과학실까지 옮기고 제작 틀을 직접 만드는 수고를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감정에도 민감하다. 심장 박동수나 혈 압의 변화에 따라 예민하게
반응
하는데, 이
반응
은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도 없고 감출 수도 없다. 짝사랑하는 상대를 보고 뛰는 가슴은 감출 수 있지만, 그 때문에 동공이 확대되는 것은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다. 700만 년 전 인류의 커다랗고 강한 얼굴인간이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존 휠러가 양자역학의 대가 보어를 방문해 논문을 소개했다. 하지만 보어의
반응
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을 거부하던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난 지 1년밖에 안된 시점이었다. 새로운 논쟁거리 자체가 보어에게는 진절머리 나는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보어의 무시 때문이었을까,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없었다.파올레티 교수팀은 지렁이가 전진하는 데 있어 부분적인 신체의 특성과 마찰면에
반응
하는 신경들의 역할이 예상보다 훨씬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이 가설을 바탕으로 지렁이의 몸이 수많은 부분들의 상호작용으로 움직인다고 설명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그 후, 연구팀은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