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신의 연구 지역에서 첨단장비와 기술력을 앞세운 다른 나라 과학자들에게 현장 안내자 역할밖에 할 수 없는 처지가 아쉬웠을 거야. 우리는 장비를 달고 열심히 헤엄쳤지. 우리가 찍은 사진 한번 볼래? 멋지진 않지만, 우리 먹이인 크릴도 찍히고 내친구들도 찍혔어(96쪽). 부러워하던 그 한국인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노들의 기능을 억제하는 ‘레프티(Lefty)’ 단백질을 만들어냅니다. 노들은 왜 상반된 역할을 하는 억제 단백질까지 만들어낼까요? 답은 노들과 레프티의 분산 속도 차이에 있습니다. 레프티는 노들보다 더 빨리, 더 멀리까지 퍼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아에서 왼쪽에 있는 세포들이 노들과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물리학자도 단백질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생명과학계에서는 생체 단백질의 기능이나 역할을 밝히는 현상론적인 연구가 주를 이뤘다. 반면 물리학계는 단백질 작용 원리를 밝히기 위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구슬 하나로 생각하고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상호작용을 구슬의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살다가 죽는 거잖아요. 미래에 새로운 행성에 자리잡고 살 우리 후손을 위해서 다리 역할을 할 뿐이에요. 이렇게 생각하면 너무 허망해요. 우리 삶의 의미는 뭔지….” “글쎄다. 그래도 우리 덕분에 사람이 점점 우주로 퍼져나갈 수 있는 게 아닐까? 게다가 엄마는 어디에 살든 하림이를 만나서 ... ...
- [과학뉴스] 그림을 그리는 대장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다른 세균의 유전자를 삽입한 거예요. 이 유전자는 마치 ‘센서’처럼 빛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지요.연구팀은 배양 접시에 이 대장균을 키우며 세 가지 색으로 이루어진 이미지를 비추었어요. 그러자 대장균은 18시간 만에 비춰 준 이미지와 똑같은 그림을 완성했어요. 과일 등 다양한 무늬가 있는 ...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8번째 바이오블리츠코리아가 열렸답니다.바이오블리츠는 생물다양성 보존에 큰 역할을 하고 있어요.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 가운데 존재나 이름이 알려진 종은 200만 여 종에 불과해요. 전문가들은 이 밖에도 수천만 종의 생물이 이름을 갖지 못한 채 어딘가에서 살고 있을 거라고 보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극 무대의 주인공인 히어로 역할을 맡은 섭섭박사님!“두 두두두 둥~!”악당을 물리치기 위해 나타나는 순간, 더 멋지게 등장해 친구들의 주목을 받고 싶었어요.섭섭박사님은 고민 끝에 무대에 구름을 만들어 띄우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답니다.무대 위에서 구름을 만들어 날릴 방법, 무엇이 ... ...
- Part 3. 안전하게 분해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것을 막기 위해서지요. 또, 유리벽은 먼지가 외부로부터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도 한답니다.리암이 아이폰 한 대를 해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1초예요. 이는 사람이 작업하는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지요. 또, 리암은 손톱 크기보다 작은 나사까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적은 양의 금속도 ... ...
- [에디터 노트] 실감의 무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들어가서 조종하는 것 같다고. 실감이 주는 감동은 생각보다 크다. 실감은 각성제 역할도 한다. 포항 지진 발생을 알리는 긴급재난문자가 요란스럽게 울려대자마자 과학동아 편집부가 있는 서울 용산구 사무실이 일순간 출렁, 흔들렸다. 내가 제대로 느낀 게 맞나, 주변부터 둘러본다. 이런 게 ... ...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주 발생하는 이유를 풀 실마리가 됐다. 낮은 온도에서 녹은 석영이 단층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해서 지진의 규모를 키운다는 것이다. 네이처 지구과학의 2016년 기준 임팩트팩터(Impact Factor·피인용지수)는 13.941, H-지수는 132로 지구 및 행성 과학 관련 저널 중 세 번째로 높다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