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주의
응시
감시
관찰
묵시
각광
d라이브러리
"
주목
"(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동물에게 암을 일으키는 레트로바이러스가 사람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데
주목
하고 있다.이것은 광범위한 RNA 편집을 통해 레트로바이러스의 RNA를 변형시키는 진화적 메커니즘 때문일지도 모른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외부 바이러스의 RNA뿐만 아니라 자체 RNA마저 편집하고 있다.이것은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나침반이다.한 컵의 과학지구를 구하는 허당 비법 지구를 구하고 싶은 미래의 영웅은
주목
하자. 또는 멸망의 구렁텅이에서도 굳이 살아남겠다는 사람도 눈을 똑바로 뜨자. 여기 블랙홀을 통과하거나 지진을 겪고도 살아남는 법이 있다. 허리케인을 멈추는 법, 동시에 모든 곳에 존재하는 법,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마비된 도로를 열어라!전 세계에 폭설이 점점 심해지는 만큼 눈을 치우는 제설 기술도
주목
받고 있다. 특히 도시에서 겨울철 제설은 시민들의 묶인 발을 풀어 주는 중요한 작업이다. 제설작업이 조금만 늦어져도 엄청난 혼란과 불편, 경제적 손실은 물론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눈길에서는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질병 진단과 종 동정에 이용하는 DNA 바코드 기술이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2012년 12월 구글재단은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에 우리 돈 3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바로 2000종의 멸종위기 동물을 포함해 1만 종의 동물에 대한 ‘DNA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더 두꺼운 형태의 두개골을 가졌다. 또 지렁이 도마뱀처럼 바깥귀가 닫혀있다. 무엇보다
주목
할 점은 앞다리와 뒷다리가 몸통에 비해 작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요하네스 뮐러 독일 함부르크훔볼트대 박사는 이를 다리가 퇴화하는 첫 단계라고 설명했다.‘머리에서 꼬리 끝까지’ 뱀은 강하다 ... ...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는 야자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조직과 기관을 발달시키기 때문이다.톰린슨 교수팀은 지금까지의 야자수 연구에
주목
했다. 야자수에는 야자수 자체가 죽을 때까지 죽지 않는 세포가 있기 때문이다. 야자수는 다른 나무와 달리 나이테를 형성하며 자라지 않는다. 대신 조직 세포가 복잡하게 엮인 관을 형성하며 쌓인다. 위로 갈수록 ... ...
[체험] 친환경자동차 연구의 기본은 수학! 자동차안전연구원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때 쓰는 연비 계산식에서 잘못된 부분을 수정한 박용성 박사님의 연구 결과가 언론의
주목
을 받기도 했다. 친환경자동차 연구에서는 수학이 어떻게 쓰이는 걸까?"연비는 자동차가 1$ℓ$의 연료로 얼마나 먼 거리를 달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동차 엔진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 ...
[수학뉴스] 발가락 형성 원리까지 설명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과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수학자 알란 튜링의 마지막 연구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튜링은 죽기 전인 1952년에 상호작용하는 두 개의 화학물질이 어떻게 얼룩말 같은 간섭 무늬를 만드는지 파동함수를 이용해 설명했다. 이를 ‘튜링 모델’이라고 한다. 그가 죽은 뒤에도 이 모델은 많은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관찰할 수 있다.유전정보를 담은 견고한 하드디스크 DNA와 다채로운 기능으로 새롭게
주목
받는 RNA, 그리고 아직 인류가 합성하지 못하고 있는 세포 내 기관 단백질들이 서로 정교하게 협력하고 있다.이중나선 구조가 발견된 이후 DNA는 생명의 설계도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유일한 주인공으로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3호가 순수한 우주발사체인가, 언제라도 미사일로 변할 수 있는 로켓인가에 있다.먼저
주목
해야 할 것은 은하 3호가 올려놓은 광명성 3호 위성의 ‘고도’다. 한국의 나로호는 1단의 강한 힘으로 고도 200km까지 올라간 다음 2단 로켓을 써서 300km 고도까지 올라가 과학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다. 이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