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6,946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으로 알츠하이머 진단 길 열릴까…비싼 검사법 대체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9
뇌 신경
세포
의 이상을 초기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혈액에서 뇌 신경
세포
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뇌에 있는 타우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했다. 이 항체는 타우단백질의 정보를 그대로 갖는 동시에 신체 말단에서 흐르는 혈액으로부터 추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 ...
'누리호·다누리 성공·허준이 필즈상' 과총 올해 10대 과학기술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백혈병 환자에게 투여하여 치료에 성공했다. CAR-T 치료는 환자 혈액에서 얻은 면역
세포
(T
세포
)가 암을 잘 인식할 수 있도록 유전자 조작을 거친 뒤, 배양해 다시 환자의 몸속에 집어넣는 맞춤형 치료법이다.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승우 미국 조지아공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 ...
체온 마음대로 조절하는 뉴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역할을 하는 뉴런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포유류의 체온을 조절하는 핵심 신경
세포
(뉴런)가 발견됐다. 체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기술로 발전되면 다양한 의학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나카무라 가즈히로 일본 나고야대 교수 연구팀은 뇌의 시각교착앞구역이란 부위에 ... ...
한 살배기 백혈병 아기, CAR-T 치료로 건강 되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후 재발률은 약 20% 정도다. 조혈모
세포
이식 후 백혈병이 재발하면 항암 치료와 조혈모
세포
이식을 다시 시도해볼 수는 있지만 심각한 이식 관련 부작용 발생 위험이 매우 크다. 의료진은 때마침 건강보험 적용이 막 이뤄진 CAR-T 치료제에 주목했다. 이 치료제는 지난해 4월부터 보험이 ... ...
식물 물에 담그면 역분화 촉진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됐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발전시켜 향후 어떤 종에서도 식물 체
세포
분화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플랜트' 12월 5일(현지시간)자에 발표됐다 ... ...
인간만 가진 유전자 155개 추가 발견...인간 고유 질환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다만 이 유전자들은 아직
세포
배양과 관련이 있다 정도만 추정할 뿐이다. 연구팀은 특정 유전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추가 연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맥리소트 교수는 “유전자에는 지금 밝혀진 것보다 더 많은 것들이 숨겨져 ... ...
한글 기계화 앞장선 故 공병우 한글문화원장 등 과학기술유공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2.12.25
생체물질 ‘전달RNA(tRNA)’의 3차원(3D)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밝혔다. 정상
세포
와 암
세포
에서 ‘RAS 단백질’의 3D 구조를 규명하고, 이 단백질이 암을 일으키는 원인임도 밝혔다. 윤 책임연구원은 산업경쟁력과 안전한 국민의 삶 제고에 기여한 인물이다. 천연섬유의 생성 원리를 규명하고 이를 적용한 ... ...
세포
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12.24
남기훈 시프트바이오 최고과학책임자(CSO). 과학동아 DB
세포
엑소좀은 제약계의 차세대 패러다임으로 불리는 치료 방식이다. 단어부터 어려워 보이는 엑소좀 치 ... 좋겠습니다.” 시프트바이오 제공 ※관련기사 과학동아 12월, [사업가가 된 연구자]
세포
의 대화를 가로채 약으로 만든다 ... ...
[사이언스얼라이브]"외계어 같은 과학용어…친절한 설명 위한 공동노력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초기에는 줄기
세포
를 '간
세포
'라고 썼다"며 "간(liver)의
세포
라는 오해가 있어 이후 줄기
세포
가 됐다"고 말했다. 보도자료를 작성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은 어려운 과학용어를 포함한 연구성과를 최대한 친절하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민현숙 KAIST 대외협력실장은 "KAIST 는 연구 ... ...
고위험 유방암, 비만도 높은 젊은 여성 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꼽히다. 폐경 전에는 난소에서 정상적으로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지만 폐경 후에는 지방
세포
에 풍부한 아로마티제란 효소에 의해 에스트로겐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에스트로겐은 유방암 환자 70%에게서 발견되는 등 병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연구팀은 폐경 전 여성의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