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7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이 좋은 커피, 몸에 좋은 커피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노하우 역시 방대한 세계라서 똑 같은 원두를 갖고도 누가 내렸는가에 따라 풍미에 큰
차이
를 보인다고 한다. 깔때기 모양의 필터 위에 분쇄한 원두를 넣고 주둥이가 얇은 주전자로 뜨거운 물을 살살 부어내리는 핸드드립 방식은 커피향이 풍부하면서도 맛이 깔끔하다. 다만 이런 맛은 단점일 수도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간섭패턴 무늬가 드러나기 시작한다. 전자들은 분명히 서로 독립적으로 그것도 시간
차이
를 두고, 즉 한 측정이 끝난 뒤에야 전자총에서 다음 전자가 튀어나왔는데 어떻게 이런 마술이 일어날 수 있을까. 게다가 더 놀라운 사실은 전자가 어떤 구멍을 통해 나왔는지 측정하는 순간 간섭패턴은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DHA의 수용체인 셈이다. 앞서 토브스가 언급한 탄수화물의 양과 질에 대한 대사반응의
차이
에 대한 미스터리도 풀리고 있다. 고구마에 들어있는, 위나 소장에서 소화가 안 되는 복잡한 탄수화물, 즉 식이섬유는 대장에서 특정 장내미생물의 먹이가 되는데 이 녀석들은 식이섬유를 소화하면서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더 좋은 걸로 나왔지만 6살 때 조사하자 모유를 먹었던 아이나 분유를 먹었던 아이나 별
차이
가 없었다고. 그런데 유일한 예외가 바로 인지능력이었다! 즉 아이가 똑똑해진다는 것만은 모유의 가장 확실한 효과인 셈이다. 2007년 ‘미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논문에는 모유가 아이의 인지력을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됐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번 러시아 유성체는 지름이 17m고 소행성 2012 DA14는 45m로 큰
차이
도 없어 보이는데 왜 하나는 유성체(meteoroid)이고 하나는 소행성(asteroid)으로 부를까. 유성체와 소행성의 분류 기준은 무엇일까. 간단히 말하면 부르는 사람 마음이다. 이 무슨 비과학적인 설명이냐고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지 않았다), 아인슈타인은 상대론적인 방법론을 쓴 게
차이
다. ●같은 저널에 몇 달 간격으로 실려 그렇다면 아인슈타인은 하젠욀의 논문을 몰랐을까. 그렇지는 않았을 거라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왜냐하면 하젠욀의 첫 번째 논문은 1904년 ‘비엔나 회의보고서’에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이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사이의 엄청난
차이
는 무시한 채 두 가지 세균의 미미한
차이
를 강조하는 건 이해할 수 없고 따라서 “3역 분류체계에서 어떤 이점도 찾을 수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그러나 마이어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21세기 들어 생명과학 교재 대다수는 휘테커의 5계 분류체계를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대부분 사춘기 이전에 오기 때문에(그래서 소아당뇨병이라고 부른다) 발병률에 남녀
차이
가 없다. ‘네이처’ 1월 3일자에는 2013년에 결정적인 연구결과가 나올 분야들을 예측한 기사가 실렸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장내미생물상에 대한 음식의 영향과 그로 인한 질병 위험성에 대한 규명이다. 모르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확산이 아니라 사람들의 이주경로에 따라 전파됐음을 밝혔고 언어의 경계가 곧 유전적
차이
가 급격히 일어나는 지점임을 보였다. 최근 게놈해독이 쉬워지면서 인류학 연구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어 조만간 소칼의 주장은 좀 더 상세히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20. 셔우드 롤런드 (1927. 6.28 ~ 2012. 3.10)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해의 기초를 쌓은 분자생물학자 “사람과 침팬지는 게놈이 98.7%나 똑같은데 왜 이렇게
차이
가 나나?” 이런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나 2002년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한 논문을 보면 이 질문의 전제가 틀렸다. 게놈을 전반적으로 고려했을 때(DNA 삽입과 삭제를 포함) 사람과 침팬지는 95%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