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조"(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소리도 같이 커졌다. 그래서 소라구조를 따라하되, 중간에 한 번 방향을 틀어버리는 구조로 만들었다. 마침내 원하는 소리가 나왔다. 빈 공간을 따라 흘러가던 소리가 닫힌 공간에 소리가 부딪히면서 잡음이 없어진 것이었다.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3D프린터로 만들고 테스트했다. 같은 모양에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조를 말한다. 이 중에서도 단층이 어떤 이유에선가 움직여서 지진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일 경우 활성단층으로 정의한다. 학계는 경북 영덕에서 경남 양산, 부산을 지나 약 170km로 길게 뻗은 양산단층이 활성단층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포항 지진과 지난해 경주 지진의 진원지는 모두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이 동영상에서 다각도의 얼굴 이미지를 뽑아 3차원 그물 구조로 만든 다음, 여기에 실제 피부와 동일한 색깔과 질감을 입히는 원리다. 트라이큐빅스 관계자는 “얼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실제 피부색을 제외한 조명 등 다른 빛을 제거하는 기술이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박테리아와 공생하는 것이다. 유황불이 곳곳에서 타오르는 환경에서는 특수한 단백질 구조를 발달시켜야 하겠지만, 불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있다. 박테리아, 그리고 박테리아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벌레. 극한 환경에서 이미 두 가지 생명체가 성공적으로 적응했다. 그렇다면 세 번째는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쫓겨 성급하게 하기보다는 신중하고 정밀하게 해보자’는 것으로 세웠다. 석탑의 상태와 구조적 특징을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확인하고, 해체 조사를 정밀하게 한 뒤, 최종 보수 범위와 기술을 직접 개발하다 보니 20년이란 시간이 걸렸다. 물론 그 성과는 컸다. 우리의 석조문화재 보존 기술을 ...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호출한 뒤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러 층을 오가며 자율주행할 수 있어 복층 구조의 병원과 호텔, 공항 등에서 특히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카트는 사람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달았다. 라이더와 3D 센서, 초음파 센서, 범퍼 센서 등이다. 라이더와 3D 센서로 앞에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과정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다만 뇌 과학자들은 이미 밝혀진 시각신경시스템의 구조를 토대로 뇌의 얼굴 인식 원리를 조심스럽게 추정하고 있다. 우선 눈 앞에 있는 얼굴을 보면서 형성된 시각정보는 ‘초기 시각 신경망’을 거쳐 대뇌피질의 후두엽에 있는 ‘일차 시각 피질(V1·primary visual ...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미인상이었다면 앞으로는 ‘동적인 얼굴’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얼굴의 구조보다는 표정이 아름다운 얼굴이 뜬다는 얘기다. 그는 “국내 성형수술 수준이 발달하고 최근 10년 동안 비슷한 얼굴의 미인이 많아지면서 이런 얼굴에 더 이상 호감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며 “최근에는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입력했다. 이때 원시 데이터로부터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콘벌루션 신경망의 최신 구조를 도입했다. 입력을 흑백 돌의 바둑판 영상으로 한 ‘레즈넷(ResNet)’ 신경망을 사용해서 더 많은 신경망 층을 쌓음으로써 더 정확한 함수를 얻었다. 이런 효율화를 통해 기존의 알파고가 48개의 TPU(Tensor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동 저자의 수를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를 하게 될 수밖에 없다. 즉, 협업이 줄어드는 구조다. 하지만 정성적 평가 방식에서는 공동 저자의 수가 많은 점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공동 연구를 높게 평가한다. 풀데 박사는 “다른 과학자와의 협력은 평가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말했다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