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모양이 변해 바람에 날려 운동한다이것을 지상에서 광학적(光學的)으로 추적하면 초고층
대기
중의 바람이나 난류(亂流)를 측정할 수 있다액체금속(液體金屬)이 된 나트륨과 칼륨의 합금 원자로나 기타 고온 동력기관의 냉각재로는 고온까지 액체가 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며, 원자로에서는 ... ...
과학블록버스터 3부작 지구 미래 대예측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아니라
대기
, 대륙, 대양 같은 환경으로 구성된 하나의 유기체다. 이에 지구의 먼 미래를
대기
학, 지질학, 천문학의 관점으로 각각 짚어 보는 과학블록버스터 3부작을 마련했다.1만 5000년 뒤 찾아올 빙하기, 2억 5000만 년 뒤 생성될 초대륙, 50억 년 뒤 거대해질 태양 앞에서 '인류의 터전' 지구는 어떻게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말 기온이 최대 6.4℃ 올라갈 거란 비극적인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안순일 교수는“
대기
중 온실기체의 농도가 계속 높아지면 지구의 기후가 밀란코비치주기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구의 기후를 조절해온 자연 주기가 힘을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다음 빙하기가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伴星雲 등) 외에 이른바 왜성운(矮星雲)이 총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별의 내부나
대기
등에서 국부적으로 온도가 균일하고 열역학적 평형이 유지되는 상태 이때의 열평형은 빛의 흡수 · 방출이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따르고 원천함수(源泉函數)가 플랑크의 복사함수로 주어질 때를 말한다태양의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바뀌고 있다는 사실이 그 대표적인 예다.반도체칩은 신속하고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해
대기
상태에서도 전력을 소모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열이 만만찮다.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조절된다. 게이트가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노래 4곡이 연주된다는 소식을 듣고 가족과 함께 공연장으로 달려갔다.공연 10분 전
대기
실에 들려 라이너스 멤버들을 만났다. ‘연’을 작곡하긴 했지만 그 노래를 세상에 알린 것은 라이너스지 내가 아니었다. 간단히 안부만 전하고 나오려다가 라이너스가 연을 부를 때 뒤에서 코러스를 돕기로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현재는 전세계의 지도들이 대부분 이 방법으로 제작되고 있다 위에서 밑으로 향하는
대기
중의 전기장 공중 전기장이 있기 때문에 공지전류(空地電流)가 생기게 된다 공중전기장의 크기는 기후에 좌우되며 뇌운(雷雲)이 접근했을 때는 커지고 경우에 따라 전기장의 방향이 역전해서 상향이 되는 수도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풍화시킬 것이다. 이때
대기
의 이산화탄소가 함께 녹아 있어 탄산칼슘이 만들어진다면
대기
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이산화탄소 농도가 너무 낮아져 식물이 광합성을 못하고 대부분 죽으며 먹이사슬이 붕괴되는 시기가 올 것이다. 연구팀은 5억 년 뒤에 이런 일이 일어날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미국 해상경비대의 전방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회수된 양은 14%에 그쳤다. 미국해양
대기
국(NOAA)이 사고가 일어난 지 3년 뒤인 1992년에 벌인 현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출된 기름의 13%가 해저로 가라앉았고 2%는 여전히 해안에 남아있었다. 다행히 70%가 생분해되거나 광분해 돼 사라졌지만 1% 정도는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2단이 일본 오키나와 나하섬에서 동북쪽으로 200km 떨어진 상공을 날자 필리핀 근해에
대기
하고 있던 한국 해양경찰청 3000톤급 경비함에서 추적에 들어간다. 이 경비함에서 받은 2단 정보는 인공위성의 중계를 거쳐 우주센터로 전송된다. 고도 300km쯤에서는 2단 킥모터가 연료를 다 태우고 나서 100여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