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시
대전광역시
집대성
전집
충전
회전
큰싸움
d라이브러리
"
대전
"(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하이테크기술 완전제패를 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있다.섬나라인 일본이 해양개발 분야에서 앞서 가는 것은 오히려 당연하다. 제2차 세계
대전
때 이미 항공모함을 소유했을 정도로 조선공학은 그 기초가 단단한데 요즘에는 인류의 마지막 보고라고 불리는 바다 속을 샅샅이 탐사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 주역은 81년에 건조된 신카이(深海)200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에서 부상한 많은 군인의 생명을 구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일반인에게는 2차 세계
대전
의 종전이후부터 공급됐다.베타락탐계 항생제는 다시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계(Cephalosporin) 비고전베타락탐계 항생제로 분류되는데, 이것은 베타락탐계 항생제의 발전과정과 관련이 있다.내성을 갖게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충분히 저렴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2차
대전
동안만 하더라도 컴퓨터는 특별한 목적에만 사용되도록 만들어졌다. 사무용 탄도계산용 핵분열계산용 등 한 응용분야에서 다른 응용분야로 넘기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전적으로 의존했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자명한 일이다.TDX-10은 올 초에 시행된 서
대전
전화국에서의 성능시험 결과, 시간당 통화도수(BHCA)가 외국 기종에 비해 전혀 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DX-1 개발당시만 해도 10개국 정도로알려진 '정보통신 1부리그' 진입여부를 놓고 논란이 있었지만,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때부터 '안전한'수혈을 가로막는 장애물들이 하나씩 제거되기 시작했다. 특히 1차세계
대전
을 겪으면서 다량의 혈액이 요구되자 이 부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졌다.또 이 무렵에 이뤄진 효과적인 항(抗)응고제, 즉 구연산염의 개발은 혈액보존기술 발전사에 큰 획을 긋는 대사건이었다.잘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의뢰로 만들어졌다. 에니악은 1943년에 시작되어 1946년에 완성되었다. 2차
대전
이 끝난 뒤라서 다소 섭섭하기도 했을 것이다. 전쟁은 흔히 과학적 진보에 커다란 이정표를 세운다.에니악의 덩치는 30t, 진공관이 무려 1만7천4백68개나 사용되었다. 사용된 전선의 길이는 1백30㎞였다. 그보다 앞서 만들어진 ... ...
지구 심부의 움직임을 읽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마찬가지로 포항에서 얻어진 지진자료는 물론 일본의 관측점에서 얻어진 지진자료도
대전
의 한국동력자원연구소로 전송된다. 앞으로 포세이돈 관측망이 본격 가동하면 국내에서도 FDSN을 통해 세계 각지에서 얻어진 디지털 지진자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제 한국도 국제적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획기적 계기가 됐던 사건은 아이러니컬하게도 인류의 커다란 비극이었던 두차례의 세계
대전
이었다. 전쟁에 이기기 위해 모든 나라가 무기를 만드는데 총력을 경주한 결과 실험실 수준이나 이론에 불과했던 과학이 현실세계에 쓰이는 기술로 전환된 것이다.핵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는 ... ...
한국에서 잡힌 UFO 10여곳에서 동시에 목격되기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것이다. 빛을 내는 꼬리가1982년 10월12일 새벽 5시40분에서 6시10분 사이 서울 강릉
대전
대구 목포 부산 제주 포항 창원 마산 등 10여곳의 상공에서 UFO가 동시에 목격됐다.목격자들에 따르면 이 비행물체는 크기가 시내버스정도였고, 색깔은 목격자들에 따라 다르지만 눈이 부실 정도로 빛을 내는 긴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머무르고 있고 그 다음으로 3천여명의 학생이 일본을 목적지로 택했기 때문이다. 2차
대전
이후 여타 유럽국가를 제치고 과학기술의 종주국으로 부상한 미국으로의 유학은 해방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정석코스로 굳어졌고 '과학기술계에서 미국의 독주시대는 끝났다'고 평가되는 현재까지도 그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