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혈액을 타고 달리는 하트 단백질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
생명
공학미국국립보건원(NIH)이 2월 1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혈액 속에 가장 풍부한 단백질인 혈청알부민의 모양이 하트와 흡사하다는 연구결과를 사진과 함께 공개했다. 혈청알부민은 혈장 속에 있는 단백질로, 삼투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인간과 동물의 혈청알부민 구조 ... ...
[과학뉴스] 우울증·흡연중독은 네안데르탈인 탓?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
생명
공학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현생인류의 우울증과 흡연중독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밴더빌트대 존 앤서니 카프라 교수팀은 네안데르탈인에서 현생인류로 건너 온 유전자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해 유럽 혈통의 환자 2만8000명의 의료기록과 유전자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놀 때, 사람이 웃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숨을 헐떡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허재원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은 “침팬지가 웃는 사실을 알기 어려운 이유는 웃는 방법이 사람과 다르기 때문”이라며 “사람이 짧은 숨을 반복적으로 내쉬며 웃는 것과 달리 침팬지는 숨을 ... ...
Part 2. 동물실험이 필요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인간의
생명
과 안전을 위해 필요해!동물실험은 인간과 비슷한 동물을 이용해 새로운 의약품이 안전한지, 특정 질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등을 알아내는 과정이에요. 동물실험이 중요한 이유는 어떤 새로운 물질이 우리 몸에 안전한지 안전하지 않은지를 미리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에요.예를 들어 ... ...
[과학뉴스] 답답하면 너도 큰 뇌를 가져보렴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
생명
공학몸집에 비해 상대적으로 머리가 큰 동물일수록 문제해결능력이 좋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와이오밍대 동물학및생리학과 사라 벤슨-앰럼 교수팀은 39종의 포유류 육식동물을 대상으로 몸집과 뇌의 크기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차이를 분석하고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치사토. 요시로는 재산이 어마어마하게 많기 때문이었다. 약 3개월 전 요시로 앞으로
생명
보험을 잔뜩 들어놓은 점도 수상했다.그러나 사고 현장은 평소 화산가스 안전지대라 불릴 만큼 황화수소 농도가 지극히 낮았고, 또 사람이 마음대로 화산가스를 치사량만큼 분출시켜 살인도구로 쓴다는 게 ... ...
[과학뉴스] 오랑우탄 살인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
생명
공학오랑우탄 암컷 간에 충격적인 살인사건이 벌어졌다. 영장류 간의 싸움은 대부분 수컷끼리, 큰 상처가 나지 않는 선에서 이뤄진다. 암컷이 다른 암컷에 의해 사망한 건 영장류 연구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스위스 취리히대 안나 마르제츠 연구원팀은 2003년부터 사건이 발생한 2014년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말라고 했던 것이다. 자아 의식의 참된 가치를 알라고도 했는데, 그러면서 “영원한
생명
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깨달으라”는 말을 구호로 외쳤다. 내가 보기에는 그냥 멋있어 보이려고 좋은 게 나쁘다라든가, 나쁜 게 좋다라는 알쏭달쏭한 말을 하는 사람일 뿐이었다. 왜 그런 사람들 있지 ... ...
[과학뉴스] 대대손손 빛을 잃은 초파리 “믿을 건 냄새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
생명
공학진화생물학연구 역사상 가장 긴 실험이 결실을 맺었다. 일본 교토대 세포발달과 후세 나오유키 박사팀은 61년간 어둠 속에서 1500세대를 번식한 초파리를 분석한 결과,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한 유전자 변이 수십 가지를 발견했다.실험은 후세 박사의 스승인 교토대 모리 슈이티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공황장애 환149자들은 뇌간이 정상인보다 민감해 약간의 변화에도
생명
에 위협을 느낀다. 흔히 공황장애 환자들이 ‘죽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고 얘기하는 것이 이런 이유다. 실험에 참가한 우어바흐-위데병 질환자도 편도체는 마비됐지만 신체가 호흡의 위험을 감지하고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