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활"(으)로 총 7,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노발전기로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성공했다. 백 교수는 “실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나노발전기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 실제 응용성에 큰 비중을 두고, 주변 환경에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기기를 들고만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2015년 암 학계는 시끌시끌했다.그 해 1월 암 위험이 무작위적인 불운과 관련이 깊다는 연구가 ‘사이언스’에 실렸기 때문이다. 같은 해 12월에는 ‘네이처’에 곧바로 반박하는 논문이 나왔다. 그리고 약 1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한동안 잠잠했던 논란이 다시금 불을 지피는 모양새다. ‘암이 불운 ... ...
- Part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1000여 개의 상점뿐만 아니라 호텔, 영화관, 박물관, 공연장 등이 있어 이곳에서만도 일상생활이 가능하죠.겨울에는 350만 명의 몬트리올 인구 중 매일 50만 명이 이용할 정도로 이미 도시의 중심이 되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 ...
- 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설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꼭 필요한 것들을 빼지는 않았어요. 바다는 수족관으로 대체하고, 스포츠와 문화 생활을 할 수 있는 시설들도 빠짐없이 넣었죠. 그렇게 1만 명 이상이 살 수 있도록 만들었답니다. 저희가 한국에 살고 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생각이지 않을까요? 하하~.Q인공 위성 파편과 부딪히면 어떡하죠?장재훈 ... ...
- 미션! 소파를 옮겨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대해 영감을 얻었다. 집에 있는 3D프린터로 도형을 출력하는 일이 로믹 교수의 취미 생활이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로믹 교수는 “3D프린터로 도형을 만들어 움직여 보면 직관적으로 생각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취미인 3D프린터를 활용하니 이번 연구는 마치 놀이 같았다”고 말했다. 데스크톱 ... ...
- 제19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바람도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데이터 과학자로 일하는 김영진씨가 2015년 12월 꾸린 ‘생활데이터 모임’의 페이스북 그룹에는 지금까지 2400여명의 회원이 모였다. 주변의 문제를 통계로 푸는 모임이다. 한 회원은 당뇨병에 걸린 장모를 위해 통계적으로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을 찾았다.해외로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것은 모두 엽록체 덕분이다. 엽록체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세포 속 기관으로, 한 때는 독립생활을 하던 남세균(Cyanobacteria)이었다. 남세균은 어느 날 숙주세포에 우연히 잡아먹힌 뒤, 더 우연히 소화되지 않고 살아남아 엽록체로 진화했다. 세포내공생이라고 하는, 진화적으로 가장 중요한 이벤트다. ...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일상생활 속에서 크고 작은 강박적인 습관을 누구나 다 갖고 있다.권 교수는 “일상생활에서 떠오르는 침투사고가 강박 증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면서 “자기 스스로 스트레스를 줄이거나, 강박 증상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박적인 성격을 장점으로 ... ...
- [Career] 사람에게 가장 편안하고 편리한 사물을 고민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국내에서 유일하게 인간공학을 대학원 과정에서 독립된 학과로 운영하고 있다.이미 생활 속에서 인간공학을 접목한 제품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를 할 때 마우스를 오랫동안 사용하면 손목터널증후군이 생길 수 있다. 그런데 인체공학적으로 마우스를 만들면 손목에 힘이 덜 들어가고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똑같은 중력을 만들어라!사람에게 중력은 아주 중요해요. 오랫동안 무중력 상태에서 생활하면 뼈와 근육이 약해지고, 면역력이 약해지거든요. 또 구토와 현기증을 동반한 우주 멀미 현상도 나타나지요. 그래서 우주 정착선에서 오래 살기 위해서는 중력을 만들어 줘야 해요.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