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소수의 자율주행차로 유령정체 해소한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필요합니다.교통공학은 인간, 기술, 사회가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 학문입니다. 안전, 공공선, 자율권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이 고려돼야 합니다. 이 논문을 읽고 자율주행, 협력주행을 위한 기술뿐만 아니라, 어떤 기술의 개념이 제안되고 시뮬레이션으로 구현되며 실제 환경에서 테스트되고 ...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처음 읽는 2차 전지 이야기 오늘도 바쁘게 돌아가는 과학동아 편집실. 과연 기자와 디자이너들은 몇 개의 배터리(전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한 ... 물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존재다. 두툼한 책의 마지막 장에 닿으면 깨닫게 될 것이다. 여전히 우리는 뇌에 관해 밝혀야 할 게 많다는 사실을 ... ...
- [이달의 과학사] 1947년 6월 1일, 멸망까지 7분! ‘운명의 날 시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냉전은 끝났지만, 운명의 날 시계는 지금도 작동하고 있어요. 핵무기의 위험은 여전한 데다 기후변화가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했거든요. 2020년 1월 23일, 핵과학자회는 분침을 23시 58분 20초로, 시계가 만들어진 이후 자정과 가장 가깝게 당겼어요. 언젠가 운명의 날 시계가 작동을 멈추는 때가 올까요 ... ...
- [특집] 2500년 만의 원조 논란, 우리가 먼저 알고 있었거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저는 직각삼각형에 대해 모든 걸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바빌로니아 사람들 덕분에 완전히 새롭게 생각하게 됐지요. *용어정리비: 두 수의 양을 기호 : 를 써서 비교한 것 ... ...
- [특집] 알쏭달쏭 무한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과학 분야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고대 때부터 다뤄지기 시작했습니다.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 철학자 제논이 제기한 역설을 통해서 무한을 엿볼 수 있어요. 제논의 주장이 그럴듯해 보이지만 현대수학을 이용해 실제로 거북과 아킬레우스가 간 거리를 계산해 보면 제논의 주장이 ... ...
- [매스크래프트] #23. 나에게 빠져 빠져! 미로의 숲!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미로공원에서 길을 잃은 퓨처킴! 어떻게 미로를 빠져나갈 수 있을까요? 미로를 탈출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미로와 미궁의 차이점이에요. 미로는 입구와 출구가 다릅니다. 여러 개의 갈림길이 있어 길을 헤매기 쉽지요. 반면 미궁은 입구와 출구가 같아요. 길이 하나라서 길을 ... ...
- [기획] 리치메이커, 수학으로 똑똑하게! 재테크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오신 걸 환영합니다. 리치 메이커는 재테크로 부자가 되는 것이 목표인 게임이에요! 전 여러분을 도울 리치 메이커의 비서 ‘큐브’입니다!지금 바로 게임을 시작해 볼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리치메이커, 수학으로 똑똑하게! 재테크Part1. [기획] 부자 되기 1단계 | 재테크 종류 ... ...
- [기획] 부자 되기 미션완료 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으악~. 나는 아직도 모르겠어. 돈도 많이 벌고 싶은데 잃는 것도 싫단 말야!둘 다 잡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수학으로 증명한 재테크 방법, 포트폴리오 이론 1952년 ... 위험하지만 수익률이 높은 주식 같은 곳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정기예금이나 채권에 안전한 투자를 하는 겁니다.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년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지금보다 70% 더 많은 식량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축산업은 전 세계 식량과 영양분 공급 부족을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동시에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문제도 있다. 아직은 초기 단계에 있는 배양육이 육류의 새로운 대체재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 ...
- [과학뉴스] 공룡 대퇴골 핵 속에 남겨진 유기분자과학동아 l2021년 11호
- 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2003-021-02627-8연구팀은 중국 동북부에서 발굴한 1억 2500만 년 전 수각류 공룡 카우딥테릭스(Caudipteryx)의 화석 대퇴골에서 연골 조직을 추출했다. 그리고 핵과 결합하면 보라색을 띠는 색소 헤마톡실린으로 연골 조직을 염색했다. 그 결과 연골 조직의 한 세포에서 원형의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