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종의 숙주 동물을 조사해 도시화로 인해 사람과 숙주 동물의 접촉이 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는 인수공통 감염병의 출현 가능성을 높인다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86-020-2562-8 끝으로 송 교수는 “홍역 바이러스는 백신을 한 번만 맞아도 감염을 93% 예방하지만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이처럼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뇌를 분석한 결과 길을 찾는데 중요한 뇌 영역인 해마의 크기가 매우 크게 변했음을 확인했다. 택시 기사들의 후위해마(posterior hippocampi)는 운전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수 밀리미터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시냅스의 1000배가 넘는 크기다.따라서 인간 뇌의 차이가 성별에 따라 타고난 것이라고 ... ...
- 전세계 지뢰찾기 히어로즈, 모두 모여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지뢰를 어떻게 찾을까? 우리가 아직 모르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있는 건 아닐까? 확인해보자!●윽, 역시나 다른 게임 세계에서도 우리와 상황은 똑같군!■왜 수학 난제겠어. 그래도 다행인 건 이제부터 지뢰찾기를 운에 맡기지 않고 수학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잖아.◆맞아. 이제부터 수학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합이 같은 ‘완전수’를 제외해야 한다는 겁니다. 따라서 a와 b가 같은 완전수인지 확인하면서 친화수를 찾습니다. ● 도전! 오일러 프로젝트 21번 문제 뽀개기 앞서 익힌 파이썬 명령어를 이용해 수학 문제를 풀어봅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는 코드를 잘만 짜면 1분 이내에 답을 얻을 수 있으니,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미미할 거라고요. 새들과의 충돌을 막기 위해선 어떤 방음벽을 만들어야 할까요. 기사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과생들을 위한 문학 강의 (114p)☞바로가기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저어 오오’. 김동명 시인의 ‘내 마음’이란 시를 읽고 ‘뇌세포(뉴런)와 호르몬의 상호작용’을 떠올렸다면 ... ...
-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동킥보드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착용하고, 브레이크와 등화장치(전조등, 방향지시등 등)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용어정리 * 정지거리주행자가 정지 상황을 인식했을 때부터 차량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나아간 거리. * 최소 회전반경차가 최소로 움직이는 범위에서 바퀴가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우리나라 남해안에 서식하고, 알려진 것보다 이른 나이에 성성숙이 진행될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 팀장은 “해양동물을 부검한 자료가 오랜 기간 쌓이면 더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로봇공학전공, 피부에 '착' 전자 피부로 실시간 건강 진단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목줄에 장착해 반려동물의 체온, 수면 질, 스트레스 지수 등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장 교수가 DGIST 대학원생들과 진행했던 연구를 기반으로 설립한 ‘엔사이드’에서 대기업과 연계해 본격적인 제품 상용화 작업을 하고 있다. 내년 출시가 목표다. 반려동물의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진행했던 실험 하나를 보자. 외국어를 쓸 때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걸 확인하고자 두 가지 복권을 만들었다. 당첨이 되나 안되나 2유로(한화 약 2700원) 정도를 받는 복권 A와 당첨이 되면 4유로 정도를 당첨이 안 되면 0.1 유로를 받는 복권 B였다. 코스타 교수는 이를 스페인어가 모국어인 ...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사용하는 것 역시 완벽하지 않단 말이야?그…, 그렇긴 하지. 완벽한 방법은 일일이 확인해서 지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뿐이야. 지뢰는 밟으면 터지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지만 이 방법이 가장 정확하지. 이렇게 모든 경우를 따져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을 ‘완전탐색’이라고 해. 예를 들어 3× ... ...
이전1621631641651661671681691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