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4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존, 美 캘리포니아서 자유주행 로봇으로 소포배송 개시
연합뉴스
l
2019.08.13
아마존의 배송 로봇 '스카우트'. 출처=아마존 블로그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미국에서 자율주행 로봇을 이용한 소포 배송을 시작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마존은 이날 소형 탱크처럼 생긴 배송용 로봇 '스카우트'가 미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에서 고 ... ...
비싼 희토류 사용 줄인 값싸고 강한 차세대 자석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게 중요하다. 보통 희토류를 공
모양
으로 빚은 뒤 연자성 물질을 코팅했는데, 공
모양
물질에 코팅하기가 어려워 자석의 성능을 높이기 어려웠던 단점이 있었다. 좌 교수팀은 희토류를 쓴 나노섬유 자석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굵기가 20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이고 길이가 수십 μm ... ...
하이드로젤 이용해 줄기세포 치료 효율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위 사진은 연구팀이 개발한 하이드로젤이다. KIST 제공 수분 함유량이 90% 이상인 젤리
모양
물질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새로운 줄기세포 주사기술이 개발됐다. 줄기세포 치료 효율성과 조직 재생효과를 높였다는 평가다. 송수창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체재료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운동을 한다. 이 모든 궤적을 그림으로 그리면 포탄은 전체적으로 직각삼각형의
모양
을 따라 운동한다. 이는 우리의 경험과 잘 맞지 않는다. 포탄의 궤적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전쟁을 치를 때 아주 중요하다. 실제 포탄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고 해서 사람들이 ... ...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변화를 볼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해 막대
모양
의 금 나노입자가 외부 에너지를 받고 변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물질 구조 내부를 분석하는 기술은 원자 하나를 관찰하는 수준으로 정밀해졌다. 문제는 물질 내부 원자는 펨토초 ... ...
그래핀과 레이저로 생체 샘플 질량분석 간편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시편이 놓이는 기판으로는 ‘그래핀 기판’을 이용했다. 벌집
모양
구조를 지닌 그래핀은 열전도성이 매우 높다. 이같은 특성의 그래핀 기판을 이용할 경우 연속발진 레이저가 발생시키는 적은 양의 빛으로도 시편 분석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드웨어도 소프트웨어도 인간 닮은 칩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3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달 1일 뇌
모양
으로 내부 망이 연결된 프로세서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프로세서가 연산처럼 인간 뇌의 기능을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뇌 속 신경망 자체를 구현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신경과학에 기반을 두고 이를 그대로 모방한 반도체 구조를 개발하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뒤에서 밀어주고 다른 하나는 위에서 방해하는 상황이다. 이후 아이들에게 똑같은
모양
의 도형을 보여주고 마음에 드는 도형을 집게 했을 때 아이들은 나쁜 도형보다 착한 도형을 더 많이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Hamlin, 2015). 아무것도 모를 것 같지만 사실은 누가 착한지 누가 나쁜지 어느 정도 ... ...
'슈퍼문' 뜬다는데… 달 보러 가니 그믐달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거라는 주장을 폈다. 슈퍼문이란 단어가 등장한 이후로 슈퍼문이란 명칭을 달의
모양
에 국한하지 않고 썼지만 최근에는 보름달에 한해 이용하는 추세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슈퍼문이란 단어를 정의하며 “최근에는 근지점에 위치한 달이 보름달일 때로만 제한한다”고 밝혔다. 실제 우주 ... ...
韓美日 국제 공동연구팀, 치매유발 단백질 응집체 형성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나선 구조가 생겼다”며 “나선 구조를 일부분 가지게 될 경우 물에 잘 녹지 않아 실
모양
일 때보다 더 잘 응집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오히려 나선 구조가 많을 경우에는 물에 잘 녹아 응집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원은 “주어진 환경에서 어떤 물질이 용매에 녹을 수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