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병
병환
병고
우환
스페셜
"
질환
"(으)로 총 1,776건 검색되었습니다.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대해 상당히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됐다. 명 단장은 "최근 DNA 복구가 암, 노화, 일부 신경
질환
등과 연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DNA 복구에 대한 연구 분야가 점점 확장되고 있다"며 "그리고 DNA 복구 연구는 유전체 염기서열뿐 아니라 그 주위를 싸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이 어떻게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어떤 이유에서인지 소장에서 더 많다고 한다. 문득 예전에 한 한의사가 암은 ‘음(陰)의
질환
’이라며 대장은 음의 장기이고 소장은 양의 장기이기 때문에 소장암이 없다고 설명하던 걸 본 기억이 났다. 그렇다면 생쥐는 소장이 음의 장기이고 대장이 양의 장기란 말인가. 연구자들은 이런 결과를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일명 루게릭병으로 불리는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뇌손상이나 뇌병변 등 세상엔 수많은
질환
이 존재한다. 청각이나 시각 같은 감각기능은 정상적으로 살아 있으면서도, 운동기능과 언어기능을 상실하면 감금증후군 환자가 된다. 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과 영화 ‘슈퍼맨’의 주인공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20
생기면 대안이 없는 경우가 많다. 망막변성이나 망막박리, 망막색소변성증 등 많은 망막
질환
의 경우 대부분이 병증이 더 이상 심해지지 않게 만드는 게 최선이다. 다행이 일부만 손상을 입는 경우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경우도 많지만, 망막의 상당부분이 손상되면 시력을 잃을 확률이 높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5.01.20
신생아가 유모세포 기능이 떨어지는 ‘고도 청각장애’를 지니고 태어난다. 사고나
질환
등으로 유모세포 기능을 잃는 사람들을 포함하면 국내 난청 환자 비율은 인구 1000명당 0.4% 정도이지만 이마저도 증가 추세다. 100명 중 4명 이상이 귀가 잘 들리지 않는 셈이다. ●청각신호 되살려 주는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개발한 논문을 학술지 ‘플로스 원’에 발표했다. 현대인들에게 만연한 만성요통 같은
질환
에 대해 비용 대비 효과가 가장 큰 치료법을 찾을 때 설문지의 데이터가 중요한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논문에서는 2004년 수행된 요통치료효과를 보는 임상시험의 데이터를 갖고 분석을 수행했다. 치료를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면역계 이상반응을 유발할 수도 있고 자체 단백질이 항원으로 작용하면서 자가면역
질환
이 생기거나 자식작용을 유발해 세포가 죽을 수도 있다. 유방암과 대장암이 L1 전이로 인한 게놈 교란으로 발생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결국 생로병사의 과정에서 레트로트랜스보존이 한 역할(악역)을 하고 ... ...
[기술이 바꾼 미래] 거대 제약사, 비아그라로 역습을 당하다
KOITA
l
2014.12.22
억제하여 혈전이 형성되지 않게 한다. 일산화질소가 동맥경화나 고혈압과 같은 혈관계
질환
의 치료제로 주목받은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런데 혈관 확장으로 혈류량이 증가하여 음경해면체가 단단해지는 것이 발기의 메커니즘이라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일산화질소야말로 오랜 세월 동안 ... ...
손과 발이 찬 이유, 무엇 때문일까?
KISTI
l
2014.12.15
배출돼야 할 노폐물이 배설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되는 병)이나 당뇨 등 내과적
질환
이다. 하지만 증상과 원인이 다양해 30% 정도는 초기에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신경 전도 검사와 근전도 검사로 신경 상태를 확인하고 혈액검사를 통해 원인이 될 수 ... ...
혹시 나도 ‘의자 중독’?
2014.11.24
사망률이 46%나 더 높다고 한다. 또 하루의 절반 이상을 앉아 보내는 사람은 당뇨나 심혈관
질환
에 걸릴 가능성이 두 배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레바인 교수는 원래 비만 전문가였는데 비만인 사람들과 마른 사람들의 생활 패턴을 비교하다가 흥미로운 발견을 했다. 뚱뚱한 사람들이 마른 사람들에 비해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