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성모병원, 외국환자 위한 국제격리병실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척수영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 전문적인 내용이 담겼다. 2013년 1판이 나와 대학민국
학술
원 우수 도서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척추 관련 의학의 최신 내용을 담는 한편, 척추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참여하는 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교수들도 집필에 참여했다. ... ...
질병청 "가족간 감염,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4배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공동으로 가족 내 감염 연결고리의 연령별 분포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이달 22일 국제
학술
지 ‘대한의학회지(JKM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확진자 1만 4290명의 주소 데이터를 분석했다. 주소가 같으면 함께 사는 가족 구성원으로 정의하는 ... ...
코로나19가 빼앗은 세계 인류의 수명 합하면 최소 2050만년
2021.02.22
포함한 81개국의 '수명상실 연수'를 계산해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인터넷판 18일자에 실렸다. 수명상실 연수는 사람이 기대수명보다 일찍 사망했을 때 기대수명과 실제 수명의 차이를 나타낸다. 기대수명이 100세이던 사람이 85세에 숨졌다면 ... ...
점점 독해지는 영국 변이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코로나19보다 위협적인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11일 마운트시나이의대 연구팀이 국제
학술
지 ‘이라이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영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에서 보고된 변이 바이러스들에서 발견된 D614G 변이가 사람의 세포를 감염시키는 능력이 기존 바이러스보다 최대 7.7배 높은 것으로 ... ...
‘초읽기’ 들어선 백신 접종…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백신 효능 어떤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22
백신 효능에 대한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의 새로운 연구결과는 국제 의학
학술
지 ‘랜싯’ 1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은 앞서 2월 1인 논문 사전 공개사이트를 통해 공개됐으며 전문가 리뷰를 거쳐 랜싯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간격을 최대 12주로 설정하는 영국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토콘드리아는 어떻게 세포의 에너지 공장이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2.21
내부 막으로 단백질이 삽입되는 과정에서의 인간 미토리보솜 구조를 규명하고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또 미토콘드리아에서 합성된 단백질이 어떤 형태적 변화를 통해 내부 막을 자유자재로 빠져나가는지도 밝혔다. 이는 인간 미토콘드리아에서 막 단백질이 어떻게 ... ...
[표지로 읽는 과학]나노 안테나로 그래핀 초전도성의 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0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이달 18일 끝이 뾰족한 ‘나노 안테나’로 그래핀 속 탄소 원자들의 진동을 관찰하는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탄소 원자가 진동하는 방식에 따라 바뀌는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그래핀의 초전도성 연구에 활기를 ... ...
결과 먼저 내놓고 투표한 모양새된 KAIST 이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8일 대전 유성구 KAIST
학술
문화관에서 KAIST 17대 총장 선임을 위한 KAIST 임시이사회가 열렸다. 이사들이 이사회에 앞서 서류를 확인하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KAIST는 18일 대전 유성 본원에서 이사회를 열어 17대 총장으로 이광형 바이오및뇌공학과 명예교수를 선임했다. 통상적이었다면 ... ...
“코로나 D614G 변이 감염력 최대 7.7배” 변이 바이러스 감염력 공통적으로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의 입체 구조.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 세포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면서 안으로 침투한다 ... 배양한 결과 D614G 변이 바이러스의 수가 기존 바이러스 수의 10배였다는 연구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실었다 ... ...
아동이 성인보다 코로나19에 강한 이유는 '타고난 면역체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삼아 성인보다 코로나19에 덜 걸리고 증상도 심각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온라인판에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맬라니 닐랜드 MCRI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아동이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사례가 적은 메카니즘이 처음으로 규명됐다”고 밝혔다.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